신학계, 한국교회의 개혁을 부르짖다

2016년 한해동안 신학계는 수많은 학회와 책들을 발간하므로, 한국교회의 개혁을 부르짖었다.

신학계가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은 아무래도 종교개혁과 관련된 부분이었다. 종교개혁 사업을 진행하는 국제조직 ‘레포500’ 대표 헤르만 셀더하위스 교수가 방한했는가 하면, 한국복음신학회, 한국기독교학회 등 주요 신학회들이 종교개혁과 교회개혁을 주제로 학회를 연이어 개최했기 때문이었다.

종교개혁의 가치 재발견

학회의 논지는 교회가 종교개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종교개혁이 당시 사회 문화 정치 전반에 영향을 끼쳤던 것처럼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었다. 한국기독교학회(10월 29일), 한국개혁신학회(5월 28일) 등은 학술대회를 통해서 종교개혁은 성경에 대한 탐구와 더불어 시대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기에 오늘의 시대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는 지성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교회개혁은 힘들다고 주장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 10월 29일 정기논문발표회 ‘성, 가정, 사회’

교회의 존폐를 가름하게 될 동성애 합법화 시도에 저항

현재 한국의 보수교계는 교회의 존폐를 가름하게 될 동성애 합법화 시도를 온 몸으로 막고 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는 10월 29일 정기논문발표회 주제를 ‘성, 가정, 사회’로 정하고 동성애의 문제점과 대책을 조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동성애는 신학적으로 용인할 수 없기에 동성애 반대는 당연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동성애자들을 사랑으로 대하고 그들이 동성애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같은 일을 개교회 차원에서 감당할 수 없다면 동성애 대책 기관과 연계하고 있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신칭의 교리의 재검토

신학계 내부적으로 관심이 컸던 또하나의 주제는 ‘이신칭의 교리의 재검토’다. 루터가 재발견하고 칼빈이 재정립한 이신칭의 교리는 기독교회의 절대 진리 가운데 하나였고 로마카톨릭과 구분되는 척도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서구에서 ‘바울신학의 새관점’이란 이름으로 연구가 진행되면서 “한번 받은 구원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주장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일부 학자는 구원 탈락의 가능성이 성경에 언급되어 있고 한국교회의 윤리 현실에 경종을 일으키는데 유용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성경은 이신칭의의 교리를 지지하고 있으며 윤리의식의 실종은 교리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죄성 때문이라면서 분명히 선을 그었다.

2016 미래교회포럼,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

과학이 영생의 영역까지 침범

과학의 급속한 발전 앞에 교회가 앞으로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도 제기됐다. 과거 교회는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점차, 경제는 기업, 학문은 학교, 질병은 병원, 사망은 장례업체가 교회를 대신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풍조가 생겼다. 특히 유전자공학이 발달해서 인간이 영생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학이 영생의 영역까지 침범하려 한다는 우려까지 갖게 됐다. 이런 상황 앞에서 교회는 그동안 교회가 가르쳐왔던 것 가운데 복음과 동떨어진 세속적인 부분은 무엇이었는지를 깊이 고민하게 됐다.

노충헌 기자(기독신문)/ 이 글은 기독신문에 실렸던 노충헌 기자의 기사이다. 노 기자의 허락을 받아 싣는다.

신학교육, 시대정신을 선도하는가?

이밖에 신학계는 신학대학교의 교육이 시대정신을 선도할 수 있는 비전을 담아야 한다는 점, 막혀버린 통일 논의에 대해 교회가 계속 교류와 협력을 주장해야 한다는 점, 성도의 직장과 사회 생활이 그리스도인다울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해 줘야 한다는 점 등을 주제로 삼아 논문을 발표했다.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기독교 교리 마저 왜곡하는 일에 대해 저항하는 변증컨퍼런스도 열렸다. 또 아시아신학연맹(ATA), 성서학회(SBL) 등의 국제 대회가 열려 한국신학계의 역량이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회에서 나온 주장들은 때로 원론적이라고 여겨질 때가 없지 않다. 그러나 신학자들은 학술대회에서 근본적인 문제를 지적하고 현장의 고민에 대한 대안을 담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신학자들의 주장이 교회와 사회의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후속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