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역사학회,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준비 학술심포지엄’ 열어

한국기독교역사학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가 후원하는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준비 학술심포지엄’이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태화빌딩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은 제98회 3·1절을 맞아, 3·1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세계 역사에 미친 영향을 재조명하기 위해 '3·1만세운동과 종교계'란 주제로 마련되었다.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준비 학술심포지엄이 진행되고 있다.

3.1만세운동. 제국주의적 세계질서에 대한 최초 도전

‘3·1만세운동과 종교계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맡은 이만열 교수는 “3·1운동은 일제의 강점을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찾으려는 거족적인 독립운동”이며, “제1차 세계대전 후 강대국에 의해 재편되고 있던 새로운 제국주의적 세계질서에 대해 최초로 도전한 운동이었다.”고 민족사적, 세계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이 교수는 3·1운동은 당시 세계질서의 재편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던 “강권·침략주의에 정면으로 도전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3·1운동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열망한 운동

이 교수는 3·1운동의 민족사적 의미에 대해 “일제가 3·1운동 후에 형식적으로나마 무단통치를 폐지하고 문화통치를 표방하게 된 것은 이 운동으로 강점 후 10년간의 통치 자체에 심대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라며, “3·1운동 이전에는 국왕과 양반이 주인이 되는 일종의 전근대적인 봉건사회로 회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3·1운동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열망한 운동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3·1운동의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라는 이념에 따라 건립된 것이 대한민국이며, 이를 운영하기 위한 정부가 임시정부다. ‘백성이 주인이 되는 정부를 건립하자!’는 운동은 대한민국 역사상 유례가 없었던 혁명적인 사건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민족의 3·1운동 정신을 “백성이 주인이 되고자 했던 국민들의 자주정신”으로 해석하며, “국가를 지키고자 했던 국민들의 정신은, 끝끝내 국민 스스로가 그토록 원하던 정부를 만들게 됐다.”고 피력했다.

‘3·1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준비 학술심포지엄’이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태화빌딩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만열 교수, 3.1운동은 3.1혁명으로 대체되어야

결론을 맺으며 이 교수는 3.1운동과 그 정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며 3.1운동은 3.1혁명으로 대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1운동은 일제 강점 초기 생존권조차 박탈당한 한국민이 당시 세계의 한 조류인 민족자결주의의 흐름을 기민하게 활용하여 일으킨 민족독립운동이요, 이와 함께 민중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국가를 건설하려는 민주사회 건설운동이기도 했다. 이 운동은 비폭력의 방법으로 동양 평화 나아가서는 세계 평화를 이룩하려는 세계사적 목표와도 연결되었다.

3·1운동에서 나타난 핵심적인 정신은 우선 민족독립과 인간해방을 위한 자주(자유)정신을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정치·사상·신앙·문화적 자유를 의미했다. 이는 곧 “민족의 자주적인 존영을 위한 정치적 자유”와 “민족의 생존권을 위한 경제적 독립”, “언론·집회·결사를 위한 사상적 자유”, “민족문화창달을 위한 자유”를 의미했다. 또 3·1운동에서 나타난 ‘민주 정신’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민주국가의 건설로 구체화되었다. 군국주의 일제가 이 땅에서 ‘식민지근대화’를 앞세워 자유와 창의성을 말살하고 있는 동안에 한국민은 망명지의 어려운 여건 하에서 민주적으로 정부를 조직하고 민주 훈련을 실험해 갔다. 한국 민주화의 여정이 이렇게 깊었던 것은 그 뒤 서구화로 포장된 이승만의 위장민주주의와 일제 군국주의 아류인 박정희의 유신민주주의를 극복하는 데에 결정적인 힘이 되었다.

이민족 겸제(箝制)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독립정신은 자주정신의 발로다. 일제 강점기에 끊임없는 항일투쟁을 벌일 수 있었던 것은 이 자주정신 때문이다. 자주민은 자기 스스로 원하는 정부를 만들어냈다. 민주적이고 다수의 합의에 의해 이뤄지는 공화제는, 3·1운동의 혁명적 열정을 바탕으로 임시정부 운동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1919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공화제를 실험할 수 있었던 것은 백성이 나라의 주인이 되도록 하겠다는 3·1운동의 결정적 산물이다. 따라서 한국의 민주운동은 3·1운동을 계기로 확연하게 드러났으며 그 이전과 이후를 구분할 수 있는 경계선이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3·1운동’은 선진들이 이미 사용해 왔던 ‘3·1혁명’이라는 용어로 대체되는 것이 마땅할 것으로 본다.

한편, 이번 학술심포지엄에서 전명구 감독회장 (기독교대한감리회)과 윤경로 박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이사장)가 인사말을 전했고, ‘무단통치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한국 종교계의 동향’에 대해 김승태 연구위원(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1만세운동과 천도교’에 대해 조규태 교수(한성대), ‘3·1만세운동과 불교’에 대해 김광식 교수(동국대), ‘3·1만세운동과 기독교’에 대해 이덕주 교수 (감신대)가 각각 발표했다.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