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선이사가 파송되고 부도까지 난 고려학원을 회생시키는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물론 법인 이사회가 일차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교육부가 파송한 임시이사들은 그야말로 임시로 법인의 일을 맡아볼 뿐이다. 정년 퇴임한 인사들 외에는 대체적으로 자신들의 본업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대학과 병원을 자신의 일처럼 돌아볼 수가 없다. 현재의 이사장 역시 기드온 협회 전무이사로서 그 역할이 지대하다. 법인의 법적 경영 책임이 이사회의 몫이긴 하지만 임시 이사회가 실제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정이사체제가 된다고 하여도 형편이 크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

고려학원이 고신대학교를 관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고신대학교는 대학과 신대원, 병원으로 나누어지고, 대학은 총장, 신대원은 원장, 병원은 병원장이 각각 관리 책임을 지고 있다. 세 기관이 법적으로는 하나의 조직에 포함되어 있지만, 각기 독립성을 가지고 있음을 부d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사회는 세 기관의 책임자를 제대로 임명하고, 임명을 받은 총장, 대학원장, 병원장이 각 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도록 법적, 재정적 지원을 하는 역할을 기본으로 해야한다. 이사회가 각 기관장들에게 주어진 권한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고려학원은 관선이사 파송이후 3년을 지나면서 이사장이 세 번, 총장 신대원장이 두 번, 병원장 역시 벌써 세 번 째 바뀌었다. 누구도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대부분 외부의 압력으로 자리를 내주었다. 최근 들어서는 총회 임원회, 정상화 추진 위원회가 직접 이사장과 병원장에게 사퇴압력을 가하고, 교육부에 건의안을 올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황이 악화되면서 결국 병원장은 자신에게 퇴진 압박을 가하는 교단 관계자들이 오히려 물러나야 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부산 간담회 소식 참조).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가 정이사체제로 돌려준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총회 집행부는 더 이상 주어진 권한을 넘어서는 간섭을 계속해서는 안 된다. 한 번 선임된 기관장이나 책임자들에게는 명백하게 불법을 행하지 않는 한 끝까지 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기관장들은 돈 보다 자율성을 훨씬 더 중요하게 여기며, 외부의 간섭을 중단해 줄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구성원들 사이의 불협화음은 정이사체제로 나아가는 길에 가장 큰 걸림돌임을 명심해야 한다. 총회 지도부는 적법절차를 따라 학교법인을 정상화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뿐이다. 총장과 병원장을 구성원들의 투표로 결정하는 현재의 제도하에서는 더 이상 이사회나 총회가 법적, 실제적으로 독자적인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은 없다. 경영은 인사와 재정의 권한을 가져야 하는데, 이제 이 모든 권한이 총장과 병원장에게로 돌아갔다. 총회가 미쳐 깨닫기 전에 책임경영 제도는 이미 시작되었음을 직시하여야 한다. 우리의 성명서 제4항은 바로 이 점을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