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기독교  

▲ 김동춘 박사 북경 Y CH담임 경북대 북한학 석사 중국 Y대학교 역사학 박사 선교한국 SFC분비위원장 역임 북한인 전도양육사역 통일선교신학교 설립준비팀장
북한 종교정책은 북한 정권이 들어선 이후 현재까지도 큰 틀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종교를 근본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북한 정권은 종교를 미신, 지배계급의 착취 수단, 인민의 아편으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대외선전용으로 혹은 전술전략적인 면에서 시대별로 약간의 정책적 변화를 겪었다.

1) 1950, 60년대

1950년에 펴낸 "조선중앙연감"에 의하면, 해방 당시 북한에는 개신교도 약 20만명, 천주교도 약 5만 7천명, 합쳐서 약 25여만명의 기독교인이 있었다.(일반적으로 약30만 명으로 봄) 하지만 북한에 김일성정권이 들어선 이후와 6.25동란 와중에 많은 기독교인들이 월남하여 기독교 인구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북한문제이해", 통일교육원, 1999. 421쪽) 6.25이후에는 아예 교회건물을 헐어버리거나 용도를 바꾸었고, 기독교인들을 반혁명분자로 숙청하여 공개처형을 하거나 집단노동수용소에 투옥하여 기독교인은 지하로 들어가거나 배교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1970, 80년대

1946년 조선기독교연맹 창립을 주도한 강양욱목사(김일성외숙)는 1972년 국가부주석이 되는데, 이것은 북한 종교의 대외선전용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다.

바로 이때 남북 7.4공동성명이 발표되었고, 헌법을 수정하여 신앙의 자유를 어느 정도 허용하였다. (헌법 54조, "공민은 신앙의 자유와 반종교 선전의 자유를 가진다") 그리고 이 해에 평양신학원을 개원하여 매 3년마다 10명씩 졸업을 시키고 있다.(1997년에 목사 수 30명, 전도사가 20명 정도 있었다.)

1980년대에 해외 관광객들이 많아지면서 그들을 위한 전시용 교회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83년 신약성서와 찬송가, 1984년 구약성서를 출간하였다. 1985년 평양에 한국의 고향방문단이 들어온 이후 처음으로 예배나 미사를 보게 하고, 이윽고 1988년 봉수교회를 설립하고, 89년에는 장충성당을 세웠다. 1989년에는 김일성종합대학에 종교학과를 개설하여 신학도 강의되고 있다.

3) 1990년대

북한은 1992년에 김일성의 지시로 칠골교회를 세웠다. 칠골교회는 소년 김일성이 어머니 강반석 집사와 함께 다니던 옛 칠골교회를 기념하여 복원 신축한 교회로 반석교회로 불려지기도 한다. 이것은 김일성의 기독교 정책에 대한 변화가 컸음을 보여준다. 바로 이 해에 북한은 사회주의 헌법을 개정하여 "반종교 선전의 자유"를 삭제하고, 제68조에 "공민은 신앙의 자유를 가진다. 이 권리는 종교건물을 짓거나 종교의식 같은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보장된다"라는 조항을 신설하였다. 이 조항은 1980년대 이후 잦아진 해외 종교인들의 접촉, 방문, 물자 지원, 교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변화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내부적인 기독교의 개방은 아니었다.

김일성사망(1994년) 이후 북한에 지하교회가 성장하게 된다. 고난의 행군 시기 대량 아사자가 생김으로 주민 통제가 느슨해 진 틈을 타 많은 북한 사람이 중국으로 탈출하게 되고, 기독교를 접하게 되어 북한 지하교회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4) 2000년대

북한에 식량난이 해결되지 않고 고난의 행군이 계속되면서 탈북자들은 여전히 늘어나고 기독교 접촉자들도 더욱 늘어나 북한의 지하교인 수는 더욱 많아졌다. 이런 탈북자들은 중국에 불법 체류하거나 제3국이나 한국으로 가기도 하지만, 탈북자들은 북한으로 다시 입국하여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탈북자들을 통하여 기독교가 확산되는 것을 두려워한 북한 정권은, 이들을 별도로 분류하여 강제노동수용소에 보내거나, 기독교를 전파하다가 발각된 자를 총살형에 처하기도 하였다.  

2. 북한교회 현황  

북한교회와 북한 기독교인은 크게 3가지 양태가 존재한다. 첫째는 해방 이전부터 믿어오던 그루터기 기독교가정 교회이고, 둘째는 평양 봉수교회나 칠골교회 등의 제도권 교회의 교인이고, 셋째는 중국 등에서 복음을 받았거나 그들로부터 신앙을 전수받은 지하교회 교인이다.

첫번째 그루터기 교인; 한때 북한에는 "지구상에서 종교가 없는 유일한 나라"로 기독교인은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탈북자들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그러한 신자 수가 많지는 않지만 할아버지 할머니로부터 믿음을 전수받은 기독교 가정이 있었다. 이들 믿음의 1세대는 70세 이상이 되어 생존자들이 점점 사라져 가지만, 그들의 자녀, 혹은 손자 손녀에게 남몰래 신앙을 전수하여 희미하나마 핍박 속에서도 신앙을 지켜 온 것이다. 2대, 3대 신자들의 수는 극히 드물다. 더구나 이들 그루터기 신앙인들이 북한 정보 당국에 적발되는 경우 강제수용소나 변방에 강제 이주를 당하여 점점 신앙생활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은진이의 경우, *배씨 부부의 경우 등) 하지만 감사한 것은 변방에 거주하면서 고난의 행군 기간 식량난을 오히려 이겨낸 경우가 많았다.

둘째, 관변교회인 봉수교회나 칠골교회의 교인이다. 이 교회의 교인들은 기독교훈련을 받은 동원된 교인이다. 상설적으로 예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방문자들이 있을 때 동원된 교인인 것이다. 이들 중에서 진짜 교인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수는 미미할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평이다.

셋째, 중국 등에서 복음을 받았거나 그들로부터 신앙을 전수받은 지하교회 교인이다. 많은 탈북자들이 중국의 교회나 기독교인을 통해 복음을 받았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북한에 들어가 지하교인이 되었고, 혹은 중국에 정착해 살고 있거나 제3국이나 한국에 정착하여 있다. 이들 기독교인 수는 약 10 만 명 정도로 본다. 북한 내의 지하 교인은 2-3명 정도가 함께 예배를 드리거나 거의 혼자서 신앙을 유지하는 정도이다.  

3. 결어 : 북한교회 재건을 위한 제안  

1) 국내 탈북자들에 대한 입양 및 공동체, 교회 재건 준비

2) 중국 및 제3국에 있는 탈북자들을 위한 복음 전도

3) 다양한 간접 전도 (국내에서, 중국에서)

4) 북한 교회 개척자 훈련 및 파송 준비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