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논문 발표회 개최

“목사는 성직인가.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목사가 되어야 하는가.” 

5월 11일(토) 서울시 양천구 신정동에 위치한 강성교회(담임목사 박요일)에서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가 주최한 제25회 논문 발표회가 있었다. 주제는 “목회와 목회자”였다. 이 날 발표회에서 현유광 교수(고려신학대학원 실천신학)는 “목사직은 다른 직업과 어떻게 다른가; 소명과 역할을 중심으로”, 오현철 교수(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는 “목회자 양성을 위한 토양으로서 신학교육과 한국교회의 역할”이라는 제하의 발표를 하였다. 

목사직은 다른 직업과 어떻게 다른가 

▲ 현유광 교수
현유광 교수는 “부르심이라는 것은 우선 죄와 죽음과 영벌로부터 구원으로의 부르심이 가장 우선한다”는 것을 발표 서두에 강조하였다. 그리고 “목사직이나 그 외 다른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내적인 부르심과 외적인 부르심이다”라고 말하여 내적․외적 부르심에 있어서는 목사직과 다른 직업에서의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직업에 있어서 특별히 ‘성직’은 없으며 하나님이 주시고 개인이 개발한 재능과 은사를 따른 모든 직업 선택이 하나님의 부르심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 교수는 교회 밖에서의 직업뿐 아니라 교회 내에서의 직분을 가진다고 할 때, “은사에 따라 직분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목회자 후보생에 대하여서는 “절대적인 조건인 목사의 소명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목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은사의 유무를 분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면서도 현 교수는 “목사 그리고 목사 직분은 다른 직업 또는 교회 내의 다른 직분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사역”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목사는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말씀을 선포하고 가르치는 목사는 개인적(자연인)으로는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동일한 위치에 있으나 강단에 서서 설교하거나, 성경이나 교리를 가르칠 때에 국한되어서 권위를 지닌다”는 것이 현 교수의 논지다. 

▲ 신학회가 진행되고 있다.
논평을 맡은 조성호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 리더십)는 현 교수의 논문이 “목사직을 기독교신학 차원에서 정립할 수 있도록 성경 내용에 충실한 내용분석을 제시하였다”고 평하였다. 그리고 “초대교회에 통용되던 목사직의 사회학적 역사적 정보”, “여러 신학 주제들 혹은 다른 교파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의 목사직 조명”, “목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목사의 급여체계, 활동범위 등에 대한 고려”, “목사에 대해 정리한 보편적인 기준이 오늘날 개별 목회자에게 적용 가능한가” 등의 질문을 하였다. 앞선 두 질문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의 목사에 대한 고찰, 뒤의 두 질문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한 질문이다. 함께 논평을 맡은 김웅기 교수(한국성서대학교 신학부)는 “목사와 다른 직분 및 직업과의 관계를 소명의 동일함과 기능의 차이로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교회 문제 해결에 대한 좋은 제안을 담고 있다”고 평하였다. 그리고 “그렇지만 목사직에 대하여 다른 직분이 하위직이 아니라는 것이 혹시 말씀을 가르치는 영적 리더로서의 권위조차 부인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을 하였다. 

현 교수는 조 교수의 질문에 대해서는 “역사적인 부분과 다른 배경 및 현대적 흐름에 대해 다루었어야 하는 것에 동의하며, 다만 본인은 담임 목사에 초점을 맞추어 다룬 것으로 보면 좋겠다”고 대답하였다. 김 교수의 질문에 대해서는 “신분상 차이는 없어야 하고, 다만 목회자가 권위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한다”고 답했다.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육과 한국교회의 역할 

▲ 오현철 교수
오현철 교수(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는 “목회자 양성을 위한 토양으로서 신학교육과 한국교회의 역할”이라는 발표를 통해 목회 현장에서의 신학의 회복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오 교수는 “신학분과가 세분화되면서 학문과 실천의 괴리가 발생했다”며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은 지양되어야 하지만 지금 교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작금의 교회 현실을 진단했다. 

오 교수는 현 신학교육에 대하여는 ▲ 신학의 실천성 강화 ▲ 개인과 목회의 통합성 강화 ▲ 소그룹 멘토링을 통한 공동체성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실천을 위한 임상적인 교과목 개설 또는 기존 이론과목이 지니는 실천적 의미 강조, 목회자 후보생의 자기 정체성, 은사 및 목회 전반에 대한 점검 관련과목 개설, 소그룹 모임 등을 제안하며 현재 국내외 신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또한 오 교수는 한국 교회를 향해서 ▲ 신학교육을 위한 스폰서십 ▲ 신학교육의 연대를 위한 인턴십 등을 제안하였다. 스폰서십은 현재 목회자 후보생들이 학자금, 생계 등의 이유로 교회의 허드렛일을 담당하며 실제로 신학을 제대로 공부하고 있지 못한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인턴십은 목회자 후보생이 실제 현장에서 담임목사와 유사한 목회활동을 하도록 일정 기간 보장해 주고 목회전반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오 교수는 “이러한 토양개선이 이루어진 후 시일이 지나서야 바른 목회자 양성을 기대할 수 있다”며 한국교회와 신학교가 지금의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을 촉구하였다. 

▲ 단체사진
아울러 이 날 발표회에서는 신성열 박사(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가 “기독교적 에토스 개념에서 본 설교자 주기철 연구”, 박순구 박사(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가 “한국교회 주일예배의 발전적 시컨스에 관한 연구”, 박현신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가 “존 칼빈의 목회적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연구”라는 제목을 가지고 발표를 하였다.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