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지난 6월 3일 부산동교회에서 열린 한국동남성경연구원 제 5회 석학초청 특강 발표 논문이다. 번역: 미국 콜로라도 덴버신학대학원 정성욱교수"

 

  

< 목 차 >

들어가며

Part 1: A Christian View of Symbolism ( 1 : 상징주의에 대한 기독교의 관점)

Part 2: Symbolism and Worldview ( 2 : 상징주의와 세계관)

Part 3: Biblical Symbolism ( 3 : 성경적 상징주의)

나가면서

 

          

 

▲ 제임스 B. 조던 박사 Biblical Horizons 대표
First of all, I wish to thank Dr. Chang Kee Hwang and KOSEBI for inviting me to speak at this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I regard it as a great honor.  

먼저, 이번 제 5회 코세비 세계석학초청 세미나에 저를 초대해 주신 황창기 박사님과 한국동남성경연구원 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렇게 초대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Second, I wish to say that the Bible is a deep and as wide as the God who has given it to us, and that symbolism is only one aspect of the Bible. The Bible gives us true history and chronology. The Bible teaches us about human life and about the world we live in. The Bible also includes a great deal of symbolism.

두 번째로, 성경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말씀이며, 그 하나님만큼 깊고 넓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상징은 성경의 여러 측면 중에 한 부분을 다룬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 싶습니다. 성경은 진정한 역사와 연대기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성경은 인간의 삶과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하여 가르쳐 주고 있기 도 합니다. 그러면서 성경은 또한 많은 상징들을 담고 있습니다.

 

Part 1: A Christian View of Symbolism

1 : 상징주의에 대한 기독교의 관점

 

           In this first part of my lecture, I wish to provide a Christian explanation for why human life is permeated by symbolism. We shall look at the Trinity, at the doctrine of creation, and at man as the image of God. First, however, let us consider how thoroughly symbolism permeates our lives by taking just a few examples.

강의의 첫 부분에서는 인간의 삶이 어떻게 상징으로 가득 차 있는지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을 소개하려고 한다. 삼위일체와 창조의 교리,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먼저 몇 가지 실례를 통하여 상징주의가 우리 삶에 얼마나 깊이 파고들어 있는지 생각해 보자.

 

           For instance, the flag of the Republic of Korea, Taegeukgi, has the taegeuk in the center, representing positive and negative forces in continual balance, opposition, and movement. The four trigrams represent east, south, north, and west; or heaven, fire, water, and earth; and other things as well. While you as Christians might want to replace these Taoist symbols, right now that is what you have.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는 중간에 음과 양을 나타내는 태극 문양을 두어 계속적인 균형과 대립,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4()는 동서남북, 혹은 하늘과 땅, 불과 물을 나타내고 있다. 기독교인인 여러분은 아마도 이러한 도교적인 상징을 쓰지 않기를 바랄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것이 여러분이 현재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다.

 

           As another example, consider written language itself. Letters and words are simply symbols of things, persons, attributes, actions, and so forth. God presents Himself as Alpha and Omega, as Urim and Thummim (which begin with the first and last letters of the Hebrew alphabet), and thus as the source of written language. Spoken language, of course, is also symbolic. If I say "Republic of Korea," that sound is not the same thing as the Republic of Korea itself.

다른 예로, 문자적인 언어를 한번 생각해 보자. 글자와 단어들은 물건이나 사람, 속성, 행동 등을 나타내는 그야말로 상징들에 불과하다. 하나님은 자신을 알파(α)와 오메가(ω), (히브리 알파벳 את로 시작하는) 우림과 둠밈으로 소개하고, 그것은 결국 문자 언어의 근원으로 자신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구어도 상징적이다. 만일 제가 대한민국이라고 말한다면, 그 말의 소리가 대한민국 그 자체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We dress symbolically. If all we wanted to do is cover ourselves, a bag would do. But we dress according to our position in life, as well as according to our ideas of beauty and propriety. In much of the world, Reformed ministers wear a clerical collar, the modern version of which was devised by a Scottish Presbyterian minister, Donald MacLeod, in the late 1800s. Soldiers, policemen, nurses, and other professional people dress so as to identify their professions.

우리는 옷을 입을 때도 상징적으로 입는다. 만일 우리가 원하는 것이 단지 몸을 가리는 것이라면, 그냥 자루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옷을 입을 때는 우리 삶의 위치에 따라서, 또 우리가 생각하는 아름다움과 예의범절에 맞추어서 입게 된다. 세계 많은 나라에서 개혁주의 목사님들은 1800년대 후반 스코틀랜드 장로교 목사 도날드 맥리어드가 고안해 낸 성직자용 칼라를 착용한다. 군인들이나 경찰, 간호사, 또 많은 전문직 종사자들은 그들의 직업을 나타낼 수 있는 옷을 입는다.

 

           Because time is limited, I must stop here with examples. I trust it is clear that human beings are constantly devising and using symbols. What is the foundation of this reality? Why do human beings live and move and have their being in symbolic environments?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실례는 이 정도로만 들겠다. 인간은 끊임없이 상징을 만들어 내고 그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해 졌으리라고 믿는다. 그렇다면 이런 현실의 근간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상징적인 환경에서 살고, 움직이며 존재하는 것일까?

 

           The Christian answer is that we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and God is three persons in one God: Father, Son, and Spirit. The mysteries of the Trinity provide us with what must be the ultimate source of everything. God did not look outside of Himself to come up with the idea of symbolizing. Hence, the reality of one thing representing or symbolizing another must come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Persons, the analogies between each of them.

기독교적인 대답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졌고,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이 한 하나님으로 존재하고 계신다는데 있다. 삼위일체의 신비는 만물의 궁극적인 근원에 대해 알려준다. 하나님은 자신의 외부로부터 상징에 대한 아이디어를 따오지 않았다. 따라서 어떤 하나를 대표하거나 상징하는 것의 실재는 삼위간의 관계, 즉 각 위격 사이에 있는 유비로부터 도출된다.

 

           A created son partly reflects aspects of his father, but the Divine Son fully reflects the Divine Father. He is called the "image" of God in 2 Corinthians 4:4, Colossians 1:15, and Hebrews 1:3. This is the same as saying that the Son is the eternal Symbol of the Father. Similarly, the Spirit is sent from the Father to the Son, and then from the Son back to the Father. Hence, the Spirit reveals the Father to the Son, and the Son to the Father.

피조된 아들은 그의 아버지의 모습을 일부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성자는 성부를 완벽하게 반영하신다. 고린도후서 4 4 , 골로새서 1 1 5, 히브리서 1 3 절에서 아들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불린다. 이것은 아들이 영원한 아버지의 상징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성령님은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로, 그리고 아들에게서 아버지로 보냄을 받으신다. 따라서 성령은 아버지를 아들에게 계시하시고, 아들을 아버지께 드러내신다.

 

           This revelation of each Person to the other two is the ultimate source of the symbolic realities. As John 1:18 says regarding revelation to humanity: "No one has seen God at any time; the Only-begotten Son, who is in the bosom of the Father, He has revealed Him."

각 위격이 다른 두 위격에게 계시되는 것은 상징적 실재의 궁극적인 근원이 된다. 요한복음 1 1 8절에서 인간을 향한 계시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말씀한다: “본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그분을 나타내셨느니라.

 

           Let us now turn to the creation itself. Since there is nothing outside of God that God can use a pattern for creation, the pattern of creation must come from God Himself, from the relations of the three Persons.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Bible tells us that so many things -- indeed, all things -- are revelations of God. Romans 1:20 tells us that the world reveals God: "For since the creation of the world His invisible attributes, His eternal power and divine nature, have been clearly seen." Notice that Paul uses the word "creation." It is because the world is created by God that it reveals God.

이제 창세 사건으로 돌아가 보자. 창조 당시 하나님께는 창조의 원형으로 삼을 만한 어떠한 외부적인 존재도 없었기 때문에, 창조의 원형은 하나님 자신으로부터, 즉 삼위의 관계로부터 도출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것(사실 모든 것)이 하나님을 계시하고 있다고 성경은 말하고 있다. 로마서 1 2 0절은 만물이 하나님을 계시하고 있다고 말한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바울이 ‘창세’라는 단어를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하라. 세상은 하나님에 의해 하나님을 계시하기 위하여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To help us understand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world as God created it, let us imagine an alternative world. Let us imagine an infinite, or at least nearly infinite, flat plain. This flat plain is inhabited by people. These people exist to glorify God. They do this by praising Him, and by developing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hese people never need to sleep, and so there is no alternation of night and day. These people get their energy directly from the Holy Spirit, so there is no need for food. There are no animals, plants, or gemstones in this world. There are only people, interacting with God and with other people, on a nearly infinite flat plain.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성격과 목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떤 대안적인 세상을 상정해 보자. 무한한 혹은 거의 무한한 어떤 평평한 면이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평면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이다. 이 사람들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 그들은 하나님을 찬양함으로써, 또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 이 사람들은 잠을 잘 필요도 없고, 낮과 밤이 바뀌지도 않는다. 이 사람들은 성령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힘을 공급받기 때문에 음식이 필요 없다. 이 세상에는 동물이나 식물, 보석들도 없다. 거기는 오직 사람들이 하나님과 교통하고, 또 다른 사람들과 교통하는 거의 무한한 평면만 존재하는 곳이다.

 

           God could have made such a world, but He didn't. And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God chose to fill up the world with all kinds of things. Why create geographical diversity: mountains, rivers, seas, wildernesses? Why create animals, plants, bushes, trees, fish, and birds? Why create an alternation of day and night, week and year, with sun, moon, and stars measuring them? In other words, why this particular world?

하나님은 그런 세상을 만드실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시지 않았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이 세상을 모든 종류의 다양한 것들로 가득 채우셨을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왜 지리적으로 다양하게 산과 강들, 바다와 사막들을 만드셨을까? 왜 동물과 식물들, 작은 나무와 큰 나무들, 물고기와 새들을 만드셨을까? 왜 해와 달과 별을 만드셔서 밤과 낮을 만드시고, 한 주와 한 해를 만드셨을까? 다시 말해, 왜 우리가 살고 있는 이런 특별한 세상을 만드셨을까?

 

           The answer to this, in part, lies in the fact that God is infinite and man is finite. We simply cannot grasp God's infinite tri-personality all at once. For this reason, God chose to reveal the infinity of His personality in the diversity of this world. Various things in the world reveal various things about God. As we interface with these different things in the world, we are indirectly interfacing with God, Who is revealed in them.

이 질문들에 대한 부분적인 답은 하나님은 무한하시고 인간은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에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무한하신 세 위격을 단번에 이해할 수가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하나님은 이 세상의 다양성 속에 자신의 무한하심을 계시하시기로 선택하셨다. 세상에 있는 많은 것들은 하나님에 관해 다양하게 계시하고 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있는 다양한 것들과 만나게 될 때, 우리는 그 속에서 스스로를 계시하고 있는 하나님과 간접적으로 만난다.

 

           The great conservative nineteenth century theologian Herman Bavinck put it this way: "We do not see God as he is in himself. We behold him in his works. We name him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he has revealed himself in his works."[1][1] 

19세기의 위대한 보수 신학자인 헤르만 바빙크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우리는 하나님을 직접적으로 볼 수는 없다. 우리는 하나님의 역사 속에서 그를 직시하게 된다. 하나님이 그의 역사를 통해 스스로를 계시하는 방식을 따라 우리는 하나님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Professor John Frame explains, "Everything in creation bears some analogy to God. All the world has been made with God's stamp on it, revealing Him. Creation is His temple, heaven His throne, earth His footstool. Thus Scripture finds analogies to God in every area of creation: inanimate objects (God the `rock of Israel,' Christ the `door of the sheep,' the Spirit as `wind,' `breath,' `fire'), plant life (God's strength like the `cedars of Lebanon,' Christ the `bread of life'), animals (Christ the `Lion of Judah,' the `lamb of God'), human beings (God as king, landowner, lover; Christ as prophet, priest, king, servant, son, friend), abstract ideas (God as spirit, love, light; Christ as way, word, truth, life, wisdom, righteousness, sanctification, redemption)."[2][2]

존 프레임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창조에 속하는 모든 것들을 통해 어느 정도 하나님을 유추할 수 있다. 이 모든 세상은 하나님을 계시해 주는 하나님의 직인이 찍혀 있다. 창조세계는 그의 성전이며, 하늘은 그의 보좌, 땅은 그의 발등상이다. 그러므로 성경은 모든 창조의 영역에서 하나님에 대한 유비를 발견하게 해 준다: 움직이지 않는 사물들 (‘이스라엘의 반석’이신 하나님, ‘양의 문’이신 그리스도, ‘바람, 호흡, 불’이신 성령), 식물들(‘레바논의 백향목’이신 하나님의 위엄, ‘생명의 떡’이신 그리스도), 동물들(‘유다 지파의 사자’이신 그리스도, ‘하나님의 양’이신 그리스도), 인간들(왕이요, 주인이요, 사랑하시는 하나님; 선지자요, 제사장이요, 왕이요, 섬기는 자요, 아들이요, 친구이신 그리스도), 추상적인 아이디어(, 사랑, 빛이신 하나님; , 진리, 생명, 지혜, , 거룩함, 구속이신 그리스도).

 

           Turning from the wider creation to humanity itself, we find that human beings are the special symbols of God. Genesis 1:26 tells us that man was made as the preeminent and particular image of Go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after Our likeness." Humanity, then, is the special symbol of God. As Bavinck put it, "Something of God is manifest in each creature, but of all creatures man is endowed with the highest degree of excellence. The exalted title: image, son, child of God, is born by him alone. The name: God's offspring (Acts 17:28), is peculiar to man."[3][3] Cornelius Van Til writes, "Man was created an analogue of God; his thinking, his willing, and his doing is therefore properly conceived as at every point analogical to the thinking, willing, and doing of God."[4][4]

많은 창조물들과 인간을 비교해 볼 때, 인간은 특별한 하나님의 상징임을 발견하게 된다. 창세기 1 26절에서 사람은 하나님의 걸출하고 특별한 형상을 따라 만들어 졌다고 말하고 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결국 인간은 하나님을 드러내는 특별한 상징인 것이다. 바빙크가 말한 것처럼, 하나님의 일부분이 각각의 창조물에 드러나고 있지만, 모든 창조물 중에서도 인간은 가장 높은 수준의 탁월함을 부여 받았다. 하나님의 형상, 아들, 자녀, 하나님으로부터 타고난 등의 고귀한 지위와 하나님의 소생( 17:28) 등은 사람에게만 독특하게 주어진 이름이다. 코넬리우스 반틸은 사람은 하나님과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사람의 생각, 의지, 행동은 모든 면에서 하나님의 사고, 의지, 행동을 닮는 방식으로 창조되었다.

 

           When the Bible speaks of God's arm, His eyes, His nose, and so forth, these must be understood correctly. Many times theologians will say that God cannot be understood by us, and so He chooses to come down to our level, to use childish language, to speak in "anthropomorphisms." It is as if God looks around at human beings who somehow already exist and says, "Ah. Maybe they will understand if I speak as if I had an arm, or a hand." To think this way is to reverse the reality of things.

성경이 하나님의 팔, 하나님의 눈, 하나님의 코 등등을 얘기할 때, 이런 부분들이 정확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의 능력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분이시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우리 수준으로 내려오셔서, 어린이의 언어를 사용하시고, 인간의 몸을 입고 말씀하시기로 결정하셨다고 많은 신학자들은 말 할 것이다. 그것은 마치 이미 존재하고 있는 인간을 둘러 보신 하나님께서 “아, 내가 마치 팔과 손이 있는 것처럼 얘기해 주면 인간들이 잘 이해할 수 있겠지”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것은 만물의 실재를 거꾸로 바라보는 것이다.

 

           The reality is that human beings are "theomorphs." Our hand is but a copy of His eternal hand, or better His "hand-attribute." Our eyes are copies of His eternal "eye-attribute." There is nothing superior about abstract and philosophical language about God. God wants us to think of Him as having a mighty arm, as having eyes that see all things, as walking through the earth. He does not want us to be "decoding" this language into abstractions, but to realize that He is the Great Original of all these aspects of human life. When the Bible speaks of God's arm, it means that there is in God an arm-attribute and that human arms are created analogues of His original arm-attribute.

현실은 인간이야말로 ‘신의 형상을 입은 존재’이다. 우리의 손은 영원한 하나님의 손, 혹은 하나님의 손의 속성을 복사해 놓은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우리의 눈은 하나님의 영원한 눈의 속성을 복사해 놓은 것이다. 하나님을 묘사하는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언어가 더 훌륭하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을 생각할 때, 강력한 팔을 가진 자로, 모든 것을 보는 눈을 가진 자로, 땅 위를 걸어 다니는 자로 여기기를 원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이런 간단한 언어를 추상적인 것으로 재구성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가 인간 생명의 모든 면에서의 궁극적 원천임을 깨달으라는 것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팔을 얘기할 때, 그것은 하나님께 팔의 속성이 있으며, 인간의 팔은 그런 하나님의 원천적인 팔의 속성을 따라 창조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re is never any need for God to "come down" or "condescend" to communicate with us, because we were made to understand God perfectly, the way a hand fits a glove. Because of sin, we choose to misunderstand who God is. The Bible is given, in part, to clear our minds so that we understand Him properly. When God speaks, it is perfectly matched to the human consciousness, without any compromise or condescension.

마치 장갑에 손이 꼭 맞듯이, 우리는 하나님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하나님 편에서 우리와 의사소통하기 위해 ‘내려오시거나’, ‘자기를 낮추실’ 필요가 전혀 없었다. 그러나 죄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를 오해하기로 선택하기도 한다. 성경이 우리에게 주어진 이유 중 하나는 우리의 생각을 선명하게 만들어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정당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말씀하실 때, 그 말씀은 어떤 타협이나 낮아짐 없이 인간의 양심에 꼭 맞게 되어 있다.

 

 

Part 2: Symbolism and Worldview

2 : 상징주의와 세계관

 

           The study of symbolism is seen by some as a curiosity, rather far removed from the central matters of life. Anyone who spends time studying Biblical imagery and symbolism may well be getting into a "dangerous" area. Persons who engage in an "overly symbolic"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re to be regarded with suspicion. What matters is the study of "reality"; symbolism is secondary.

상징주의에 관한 연구는 종종 우리 삶의 중심 이슈와는 거리가 먼, 호기심의 대상으로 보여질 때가 많다. 성경의 모형과 상징을 연구하는데 시간을 쏟는 사람은 누구든지 ‘위험한’ 영역으로 발을 들여 놓게 된다. 성경 해석에 있어서 ‘과도한 상징적’ 해석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한번쯤 의심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중요한 것은 ‘실재’를 연구하는 것이다; 상징은 부차적인 것이다.

 

           This attitude betrays the influence of the Greek view of the world. According to the Greeks, and actually all paganism, the world was not made by God. Rather, the world, or the raw material of the world, has always existed. This always-existing stuff is called "Being." This "Being" stuff is like a blank slate. It is silent and meaningless, "raw material." It does not bear the impress of any Creator, and it does not joyfully shout His name.

위의 이러한 태도는 헬라적 세계관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헬라인들에 따르면, 아니 모든 이교도들의 관습에 따르면, 세상은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세상과 세상을 구성하는 원재료들은 항상 존재해 왔다. 이 상존하는 것을 가리켜 ‘원인’이라 부른다. 이 원인은 마치 텅 빈 접시와 같다. 그것은 침묵하며, 의미 없는 원재료인 것이다. 그것은 창조주의 어떠한 이미지도 갖고 있지 않으며, 기쁘게 창조주의 이름을 외치지도 않는다.

 

           How did our present world come about, then? Well, the ancients believed that along came a designer or maker, often called a "demiurge." This demiurge imposed order on the primeval raw material. He imposed meaning, structure, and symbol on the neutral always-existing world.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 pagan view, are like little demiurges, and so we go through life imposing meaning and structure and order on the world.

그렇다면 우리의 현실 세계는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고대인들은 소위 ‘조물주’라 불리는 디자이너 혹은 제작자가 있었다고 믿었다. 이 조물주는 원시적인 원재료에 질서를 불어 넣었다. 또한 중립적인 항존 세계에 의미와 구조와 상징을 부여했다. 이교도들에 따르면, 인간은 마치 작은 조물주들과 같아서,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세상에 의미와 구조와 질서를 부여한다.

 

           Modern philosophy, especially after Immanuel Kant, has taken an even more radical view. The modern view is that there is no demiurge, and that the universe is really ultimately chaotic. Whatever order and meaning there is in the world has been imposed by human beings, and by no one else. We create our own worlds by generating our own worldviews. All meaning, all symbols, are man-made.

특별히 임마누엘 칸트 이후의 현대 철학에서는 좀 더 급진적 관점을 취한다. 현대적 관점은 조물주는 존재하지 않으며, 우주는 진실로 궁극적인 혼돈 속에 있다는 것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질서나 의미는 오로지 인간에 의해서만 부여된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세계관을 만들어 냄으로써 우리가 속한 세상을 만들어 간다. 모든 의미와 모든 상징은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다.

 

           Very often this approach to symbolism is brought over, unintentionally, into our view of the Bible. It is assumed that the symbolism in the Bible is ultimately arbitrary, not grounded in creation design. More liberal commentators assume that the men who wrote the Bible used the man-generated symbolism of their day to express their ideas. More conservative commentators assume that God just decided arbitrarily to use this or that item to symbolize this or that truth. Such an approach, however, implicitly denies the doctrine of creation, as we have seen already. Symbolism is never arbitrary or secondary.

상징주의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이 자주 무의식적으로 성경을 보는 관점에도 적용된다. 성경에 나타난 상징들이 궁극적으로는 창조 디자인에 근거를 두지 않은 인위적인 것이라고 가정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자유주의적인 성경 주석가들은 성경을 기록한 기자들이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간이 만들어 낸 그 시대의 상징들을 사용하였다고 본다. 좀 보수적인 성경주석가들은 하나님께서 이런 저런 진리를 나타내시기 위해 이러 저러한 상징들을 작위적으로 사용하셨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접근법은 우리가 살펴본 것처럼 은연 중에 창조의 교리를 부인하고 있는 것이다. 상징주의는 결코 인위적이지도, 부차적이지도 않다.

 

           In the Western world for several centuries, men have assumed that the proper way to express truth is by means of abstract philosophical language. Wherever we find imagery, parable, symbolism, or typology, we ought to translate such language into proper abstractions. This, however, is not how God chose to reveal Himself to us. To be sure, some parts of the Bible are written in abstract language, especially the epistles. Most of the Bible, however, is written in stories, histories, poems, symbols, parables, and the like. As far as God is concerned, this way of revealing truth is equally as important as abstract philosophizing.[5][5]

지난 수 세기 동안 서구 세계에서는 인간이 진리를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은 추상적인 철학적 언어로만 가능하다고 믿어왔다. 이미지, 비유, 상징, 혹은 모형이 발견되면, 그것들을 적절한 추상적 언어로 대체해야 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이 스스로를 우리에게 계시하고자 하는 방식이 아니다. 분명히 성경의 어떤 부분들은 추상적인 언어로 쓰여졌으며, 그 예는 서신서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성경의 대부분은 이야기, 역사, , 상징, 비유 등으로 쓰여져 있다. 하나님 편에서는, 진리를 계시하는 이런 방식들이 추상적인 철학화와 동일하게 중요한 것이다.

 

           Indeed, such things as stories, poems, songs, images, parables, and the like can strike at deeper levels of the human being than abstract ideas. We are shaped and changed by stories and symbols, songs and parables. The psalms of David, for instance, as we sing them in lines (as they were written) reshape us and change us into different kinds of people.

사실 이야기, , 노래, 이미지, 비유 등은 추상적인 아이디어들 보다 훨씬 더 깊은 인간의 내면을 건드릴 수 있다. 우리는 이야기, 상징, 노래, 비유들을 통해 변화되고 우리의 모습을 다듬어 가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다윗의 시편을 (쓰여진 대로) 한 줄 한 줄 노래할 때, 그것이 우리를 다른 종류의 사람으로 변화시키고 빚어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Symbolism, then, is not some secondary concern, some mere curiosity. In a very real sense, symbolism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e life of man. As we have seen, the doctrine of creation means that every created item, and also the created order as a whole, reflects the character of the God Who created it. In other words, everything in the creation, and the creation as a whole, points to God. Everything is a sign or symbol of God.

그렇다면 상징주의는 단순한 부차적이거나 호기심인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가장 현실적인 의미에서 상징주의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어떤 것보다 중요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창조의 교리는 모든 창조된 것들과 그 안에 있는 질서가 전체적으로 그것을 창조한 하나님의 본성을 반영한다. 환언하면, 창조 안에 있는 모든 것과 창조 그 자체가 하나님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다. 모든 것들이 하나님에 대한 싸인 혹은 상징이다.

 

           And not only so. Just as everything in creation is a general symbol of God, so also man is the special symbol, for man and man alone is created as the very image of God (Gen. 1:26). Each individual human being, and the race as a whole (Gen. 1:27), symbolizes God in a special way. In other words, the most basic, most fundamental aspect of what it means to be a human being is that we are symbols, living symbols of God.

그 뿐만이 아니다. 창조 세계의 모든 것이 하나님에 대한 일반적인 상징인 것처럼, 인간은 유일하게 하나님의 형상 그 자체를 따라 창조되었기 때문에( 1:26), 하나님을 나타내는 특별한 상징이 바로 인간이다. 각 개인인 인간과, 그리고 인류 전체로서의 인간은( 1:27) 특별한 방식으로 하나님을 상징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이 존재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부분은 바로 우리가 하나님을 표현하는 상징, 살아있는 하나님의 상징이라는 점이다.

 

           What is the special way men symbolize God? Theologians have debated the issue, and no one will ever fully understand it (since to do so we should have to understand fully the nature of the God whose symbol we are). All the same, this much can be said: Man is the only symbol that is also a symbol‑maker. The first five days of Genesis One is the context in which it is then said that man is the image of God. God has been presented as one who determines, creates, evaluates, names, takes counsel among Himself, etc. These things are what man uniquely images. Human beings formulate models (symbols) and then make things according to their models. Human beings put names on things. Human beings do the things God does, in the human, created realm.

그렇다면 인간은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하나님을 상징하고 있는가? 신학자들이 이 문제를 오랫동안 다루어 왔지만, 누구도 그것을 완전하게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상징하고 있는 하나님의 성격에 대하여 완전하게 이해하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만은 말할 수 있다: 인간은 유일하게 스스로 상징이면서 상징을 만들어내는 존재이다. 창세기 1장에서 첫 닷새 동안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졌음을 말하기 위한 배경을 그려낸다. 하나님은 결정하시고, 창조하시고, 평가하시고, 이름을 지으시고, 스스로 조언을 구하시는 분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런 것들은 사람만이 독특하게 가지는 형상들이다. 인간은 모형(상징)을 만들고 그 모형을 따라 물건들을 만들어 낸다. 인간은 그 물건들에 이름을 붙인다. 인간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을 인간의 세계, 창조된 세계 내에서 똑같이 하고 있는 것이다.

 

           As we have seen, there are many different created symbols. This is ultimately because, as theologians would say, in the opera ad extra of God one or the other of the Persons and/or attributes of God is always highlighted. What does this mean, in simpler language? After all, we are not all professional theologians here today. Well, the opera ad extra are the works that God does outside of Himself. Some of these works are more particularly the work of the Father, some of the Son, and some of the Holy Spirit, though in every case all three Persons are active, because "all of God does all that God does." Also, some of these works more particularly show God's wrath, others His grace, others His forbearance, others His jealousy, and so forth; yet in a general way, all of God's attributes are present in each of His actions.[6][6]

우리가 살펴본 바와 같이, 세상에는 많은 창조된 상징들이 있다. 이것들은 궁극적으로, 신학자들이 말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의 외적사역(opera ad extra)에 있어서 하나님의 세 위격과 속성들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좀 더 쉬운 말로 말한다면 무슨 의미가 될까? 오늘 여기 모인 분들이 모두 전문 신학자들은 아니지 않는가! 하나님의 외적 사역이라는 것은 하나님이 삼위일체이신 그 자신 외부에서 행하시는 모든 사역을 일컫는 것이다. 이 사역들 중에 일부는 특별히 하나님 아버지의 사역이며, 일부는 아들, 일부는 성령의 사역들이다. 물론 모든 경우에 삼위 하나님께서 함께 일하시며, 각 위격이 행하시는 모든 일은 결국 한 분 하나님의 일이다. 또한 이런 사역 중에는 특별히 하나님의 진노를, 어떤 경우에는 하나님의 자비를, 또 하나님의 참으심을, 하나님의 질투를 보여주는 사역들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모든 속성들이 하나님의 각 행동들에 드러난다.

 

           In a general way, everything in creation points to all three Persons of God, and to all of God's attributes, if we could but see it. But in a special way, each item particularly discloses one or another of His attributes and/or one or another of the Persons. 

일반적으로 말해서, 우리가 발견할 수만 있다면, 모든 피조물이 삼위 하나님을 가리키고 있으며, 모든 하나님의 속성들을 드러낸다. 그러나 좀 더 특별한 방식으로 각각의 항목들이 이러 저러한 하나님의 속성과 이러 저러한 하나님의 위격을 보여준다.

 

           How are we going to read these symbols? By guesswork? Happily, we have the Bible to teach us how to read the world. The Bible lays out for us the primary symbol of God (man), and four classes of secondary symbols: animals, plants, stones (that is, non‑living things including air and water), and stars (heavenly bodies). The Bible also discusses angels, though whether angels should be regarded as, like man, special symbols (images) of God, is a matter of theological debate. Since each of these signifies God, they also signify man as well. The Bible teaches us how to interpret these symbols.

이러한 상징들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 그냥 추측으로? 감사하게도 우리에게는 세상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가르쳐 주는 성경이 있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주요 상징(사람)과 네 종류의 이차적인 상징들을 보여준다: 동물, 식물, (공기와 물을 포함한 무생물들), 그리고 별들(천체). 성경은 또한 천사들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천사들이 사람처럼 하나님의 특별한 상징(형상)으로 여겨져야 할지는 여전히 신학적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긴 한다. 이 각각의 것들이 하나님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은 또한 사람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성경은 우리에게 이런 상징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를 가르쳐 준다.

 

           Some symbols are verbal and some are non‑verbal. Or better, some are relatively more verbal, and some are relatively more non‑verbal. Without words we can never understand anything, so that there must be at least some words to go along with non‑verbal symbols. On the other hand, verbal symbols (such as what you are hearing and reading) still have shape and sound, and thus are not wholly verbal. We are used to thinking only of non‑verbal signs as symbols, but we should realize that all language is symbolic, for words are signs that point to things or relations.

어떤 상징들은 언어로 되어 있고, 또 어떤 상징들은 비언어적으로 표현된다. 좀 더 정확히 말한다면, 어떤 상징들은 비교적 더 언어적이고, 다른 상징들은 비교적 더 비언어적이다. 언어가 없이는 어떤 것도 이해할 수 없으므로, 비언어적인 상징이라 하더라도 최소한 어느 정도 언어적인 표현이 있기 마련이다. 반면, 듣고 읽는 것처럼 언어적인 상징들도 여전히 모양과 소리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완전히 언어적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 우리는 흔히 비언어적인 표식들을 상징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모든 언어가 상징적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어떤 물건이나 관계들을 나타내는 일종의 표식이기 때문이다.

 

           The power of symbols is the power of worldview presuppositions. It is the greatest power in the world. All of language is symbolic, of course, but symbolism is not limited to words. Symbolism "creates" reality, not vice versa. This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essence precedes existence. God determined how things should be, and then they were. God determined to make man as His special symbol, and then the reality came into being. Bavinck puts it this way: "As the temple was made `according to the pattern shown to Moses in the mount,' Hebrews 8:5, even so every creature was first conceived and afterward (in time) created."[7][7]

상징의 힘은 세계관의 전제가 되기도 한다.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힘있는 것이다. 물론 언어의 모든 측면이 상징적이지만, 상징이 말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징은 실재를 창조해 내지만, 그 반대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것을 다른 말로 하면 본질이 존재를 앞선다는 말과 같다. 하나님께서 세상이 어떠해야 된다는 것을 미리 결정하셨고, 그것에 따라 세상이 존재하게 되었다. 바빙크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성전이 ‘시내산에서 모세에게 보여진 모형을 따라서’ 만들어진 것처럼( 8:5), 모든 피조물은 먼저 생각되어졌고, 그 후에 (때가 차매) 창조되었다.

 

           Similarly, man is a symbol‑generating creature. He is inevitably so. He cannot help being so. He generates good symbols or bad ones, but he is never symbol‑free. Man's calling is to imitate God, on the creaturely level, by naming the animals as God named the world, and by extending dominion throughout the world. Notice that naming comes first. Man first symbolizes his intention, conceptually, and then puts it into effect. Symbols create reality, not vice versa. Or, more accurately, for God symbols create reality, and for man symbols structure reality. Man does not create out of nothing; the image of God's creativity in man involves restructuring pre‑existent reality.

유사한 방식으로, 인간은 상징을 만들어 내는 피조물이다. 불가피하게도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인간인 것이다. 인간은 좋은 상징과 나쁜 상징들을 만들어 내며, 상징이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이다. 사람은 하나님을 모방하도록 부름 받았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세상을 부르신 것처럼, 피조물의 수준에서 동물들의 이름을 붙이고 세상을 다스리도록 부름 받은 것이다. 이름을 붙인 사건이 먼저라는 사실에 주목하라. 인간은 먼저 그의 의도를 개념적으로 상징화 하고, 그런 다음 그것을 실천에 옮긴다. 상징은 실재를 창조해 내지만, 반대로 실재가 상징을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정확히 말하면, 하나님께 있어서 상징은 실재를 창조해 내고, 인간에게 있어서 상징은 실재를 구성해 낸다. 인간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지 않는다; 인간에게 내재한 하나님의 창조성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실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God's actions are creatively constructive. He speaks, and it comes to pass. Man's actions, however, can only be "receptively reconstructive." He is to learn God's symbols, and generate his own in terms of God's. Thus, for man, reality reflects God's original symbols, so that man learns symbols in part from reality; but then, man restructures reality in terms of his own symbols (either righteously or sinfully). Always, God's symbols are primary, man's secondary.

하나님의 사역은 창조적이며 건설적이다. 하나님은 말씀하시고, 그것이 현실화 된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는 ‘수용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고작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상징들을 배우게 되고, 하나님을 나타내는 상징들을 스스로 만들어 낸다. 따라서 인간에게 있어서 실재는 하나님의 원래적인 상징들을 반영하고 있고, 실재를 통해 일부 상징들을 배운다; 그런 다음 인간은 스스로 만든 상징들을 통하여(그것이 의로운 것이든 죄 된 것이든) 실재를 재구성 하게 된다. 항상 하나님의 상징이 기본이 되고 인간의 상징은 부차적이다.

 

           The heart of the Biblical doctrine of salvation lies here.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are inseparable, but which has primacy? Justification. First God re‑defines us, re‑symbolizing us as righteous, and then He remakes us. Similarly, Paul in Romans 6 says that we are to reckon ourselves dead to sin and alive to righteousness, and then we will live that way. Symbols bring about reality, not vice versa.

성경의 구원 교리의 핵심이 여기에 있다. 칭의, 성화, 영화는 서로 떼어 놓을 수 없는데, 그렇다면 어떤 것이 더 기본이 되는 것일까? 칭의. 먼저 하나님은 우리를 새롭게 정의하고, 우리를 의롭다고 새롭게 상징화 한 후, 우리를 새롭게 다시 만드신다. 유사하게, 로마서 6장에서 바울은 우리를 죄에 대하여는 죽고 의에 대해서는 산 것으로 여기며, 또 그렇게 살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상징은 실재를 가져오지만, 그 실재가 상징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The primacy of the symbolic is not the same thing as the Greek philosophical notion of the primacy of the intellect, for symbolism often does not operate at the conscious or rational level of the human psyche. Symbolism points us to the equal ultimacy of the rational and non‑rational in man, and resists rationalistic attempts to shave away the mysterious.

상징적인 것의 우위는 그리스 철학에서 말하는 지성의 우위와 같은 의미는 아니다. 왜냐하면 상징은 의식적이거나 합리적인 인간 심리의 차원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징은 인간 안에 있는 합리적이고 비합리적인 것을 뛰어 넘는 궁극을 지향하며, 신비로운 것들을 무시해 버리려는 합리적인 시도에 반하는 것이다.

 

Three Special Symbols

세 가지 특별한 상징

 

           As a copy of God, man is a symbol‑making creature. It is always possible for man to seek to elevate his own symbols to the level of God's, or even replace God's with his own. This sinful tendency has cropped up over and over in the Church herself. To be clear on this, we have to isolate what God's own specially‑appointed symbols are. All things generally symbolize God, but He also has given three special symbols.

하나님의 복사품으로서 인간은 상징을 만들어 내는 피조물이다. 인간은 자신이 만들어 낸 상징을 하나님의 수준으로 까지 높이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어떤 때는 자신의 상징으로 하나님의 상징을 대체하려는 노력을 마다하지 않는다. 이러한 죄 된 경향은 교회 안에서도 끊임없이 있어 왔다. 이 점에 대하여 분명히 하기 위해 우리는 하나님께서 손수 특별히 지정하신 상징들이 어떤 것인지를 구분해 내야만 한다. 모든 것이 일반적으로 하나님을 상징하고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세가지 특별한 상징을 주셨다.

 

           We are told in Scripture that everything is confirmed by the testimony of two or three witnesses (Deuteronomy 19:15). There are, accordingly, three special symbols that God has given which reveal Him to His people. They are: man himself (the image of God), the Word, and the Sacraments. Satan has sought to pervert these symbols and thereby redirect the history of the world. He perverted the Word in his conversation with Eve. He perverted the sacramental symbols of the two trees, saying that there was no harm in eating from the wrong tree. He perverted the revelation of God in man by bringing man into sin.

모든 것은 두 세 사람의 증인이 있을 때 확증된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19:15).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세 가지 특별한 상징을 주셔서 스스로를 주의 백성들에게 계시하여 주신다. 그것들은 바로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 그 자체, 하나님의 말씀, 그리고 성례전이다. 사탄은 이러한 상징들을 왜곡시켜 세상의 역사를 재조정하려는 시도를 계속해 왔다. 사탄은 하와와의 대화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해 버린다. 사탄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먹는 것이 아무런 해악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두 나무에 대한 성례적 상징을 왜곡시켰다. 사탄은 또한 인간을 죄악으로 이끔으로써 인간 안에 계시된 하나님을 왜곡시켰다.

 

           Grace restores these three special symbols. Grace gives us the Word of God. The Bible itself can be taken as a testimony of many witnesses. Indeed, historically the Church has appointed several readings each Lord's Day (Opening Psalm, Old Testament, Epistle, Gospel Psalm, and Gospel).

은혜는 이 세 가지 특별한 상징들을 회복해 준다. 은혜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 준다. 성경 그 자체는 많은 증인들의 증언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역사적으로 교회는 매 주 일마다 몇몇 성경 구절들을 정해 읽도록 했다(개회 시편, 구약, 서신서, 복음 시편, 복음서).

 

           Grace gives us the sacraments. There are two of them, forming a non‑verbal testimony of two witnesses: Holy Baptism and Holy Communion. Indeed, the Lord's Supper itself has two separate witnessing elements, each with its own prayer of thanksgiving.

은혜는 우리에게 성례를 가져다 준다. 성례에는 세례와 성만찬,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것들은 두 증인의 비언어적 증언을 의미한다. 사실 주님의 만찬 자체는 감사의 기도와 함께 두 가지 서로 다른 증언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떡과 잔).

 

           Grace gives us redeemed and restored men. The saved are re‑symbolized as righteous and whole before God. Here again, we have two witnesses, the royal priesthood (believers) and the servant priesthood (ordained ministers).

은혜는 우리를 구속하고 회복해 준다. 구속된 자들은 하나님 앞에서 의롭고 온전한 자로 새롭게 상징화 된다. 여기서 우리는 거듭 두 증인을 발견하게 된다: 왕같은 제사장(믿는 자)과 섬기는 제사장(안수 받은 목회자).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hree special symbols: Word, Sacrament, Officer. Here my point is simply this: These are the three special symbols God has set up. The restoration of the whole fabric of life takes place when these symbols are restored to power.

성경 각 권은 이 세 가지 특별한 상징(말씀, 성례, 직분)간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쓰고 있다. 여기서 필자의 논점은 간단히 말해, 이것들이 하나님께서 세워 놓으신 세가지 특별한 상징들이라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상징들이 능력으로 회복될 때 인생 구석 구석에서의 온전한 회복이 일어나게 된다.

 

           We must leave these gener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considerations now, and move to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iblical language of symbol.

이제 일반적인 신학적, 교회론적 생각을 접어 두고, 성경적인 상징의 언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Part 3: Biblical Symbolism

3 : 성경적 상징주의

 

           If you were going to write a book introducing who God is and how He wants to relate to human beings, how would you do it? I imagine it would be kind of like a simple systematic theology, because that is how we today tend to think, especially in Western Protestant circles. That, however, is not what God did.

하나님이 누구이시며, 그 분이 어떻게 인류와 관계 맺으시기를 원하는지에 대하여 소개하는 책을 써야 한다면, 당신은 어떤 방식으로 하겠는가? 내가 생각해 볼 때, 그것은 아마 간단한 조직신학 책 정도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오늘날, 특별히 서구 개신교 내에서 생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이 쓰신 방식은 다르다.

 

           After giving us a book and a half of history and biography, God then ends the book of Exodus with twelve chapters describing pieces of furniture and clothing. Then He gives us a whole book of rituals and rules concerning the symbolic meaning of blood and sex and skin diseases, in the book of Leviticus. Then, in the first ten chapters of Numbers, He tells us about the positions of the tribes north, south, east, and west of His palace, as well as a ritual designed to inspect a woman suspected of adultery, rituals for people taking a special holy war vow (the Nazirite vow), and other clearly symbolic matters. That is how God begins His education of His people. These are the first principles.

하나님께서는 한 권 반 정도의 역사와 인물에 대한 책을 주신 다음에, 출애굽기 끝 부분에서는 가구와 옷 가지를 설명하는데 열 두 장을 할애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레위기에는 피와 성과 피부병에 대한 각종 예식과 율법에 대하여 책 한 권 전체를 할애한다. 민수기 첫 부분의 10장까지는 성막의 동서남북에 자리하는 각 부족들의 위치와 간음이 의심되는 여성을 조사하기 위한 예식뿐만 아니라, 특별히 성전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위한 예식(나실인의 맹세), 그리고 명백히 상징적인 여러 가지 것들에 대하여 말해 주고 있다. 그것이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을 교육하기 시작한 방식이다. 그리고 이것들이 첫번째 원칙들이다.

 

           God returns to this way of teaching in the description of Solomon's Temple in Kings and Chronicles, and in the nine chapters devoted to the visionary Temple, Land, and City in Ezekiel 40-48. Numerous symbolic actions are found in Jeremiah and Ezekiel, and virtually the whole book of Zechariah is written in symbolic language.

하나님은 열왕기와 역대기에서 솔로몬의 성전을 기술하기 위하여 동일한 교육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에스겔 40장에서 48장까지의 총 9장은 성전과 땅 그리고 도시를 그려내기 위해서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예레미야와 에스겔에는 많은 상징적인 행위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스가랴는 사실상 전권이 상징적인 언어로 쓰여져 있다.

 

           When we come to the final parts of the Bible, we find Jesus teaching in symbolic and allegorical parables, and predicting the future in symbolic language. After all, the stars cannot literally and physically fall to the earth. This is symbolic language.

성경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서는, 예수님께서 상징적이고 풍유적인 비유로 가르치시며, 상징적인 언어로 미래를 예견하시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사실, 별들이 문자 그대로 물리적으로 땅에 떨어질 수는 없는 것이다. 이것은 상징적인 언어이다.

 

           And finally, the last book of the Bible is said to be written in symbolism, as the first verse says, "And He symbolized it, having sent it by His messenger to His servant John." The Greek word I have translated "symbolized" is semaino, which can possibly mean "communicated," as in "He communicated it," but not here. It comes from sema, meaning "sign, symbol," and since Revelation is full of symbols, here the sense is that the angel communicated this revelation in symbolic language.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경의 마지막 책은 상징으로 쓰여져 있다. 그 책의 첫 구절에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의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상징으로 알게 하신 것이라.” 여기서 ‘상징’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세마이노(semaino)인데, 그것은 그가 의사소통을 하였다 에서처럼 소통하다 라는 의미로도 쓰일 수 있지만, 본문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 단어는 싸인, 상징을 의미하는 세마(sema) 라는 어원에서 유래한다. 요한계시록은 상징들로 가득하기 때문에, 여기서 천사가 계시의 내용을 상징적인 언어로 알게 했다는 의미이다.

 

           Since God has chosen to communicate so much of His message to us in symbolic language, we are duty bound to learn the language of Biblical symbolism. We must become immersed in the vocabulary, grammar, and rhetoric of Biblical symbolism, so that it makes sense to us. For us today, however, Biblical symbolism is a foreign language.

하나님께서는 그의 메시지를 상징적 언어를 통하여 우리에게 알려 주시기로 선택하셨으므로, 우리는 성경적 상징의 언어를 배워야 할 의무가 있다. 성경적 상징의 어휘와 문법, 수사학 등에 깊이 들어가 그것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를 깨달아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 성경적 상징주의는 외국어가 되어 있다.

 

           I have never studied Korean, and at my age, learning Korean will have to wait for heaven, where I understand it is the universal language. I did, however, study Russian many years ago. First, I had to learn the Cyrillic alphabet in which Russian is written. Second, I had to learn to make many sounds that exist in Russian but not in English. Then I had to begin to learn vocabulary and grammar. If I had kept on, I would then have begun to be sensitive to rhetoric, expression, poetry. Finally, I would begin to dream in Russian.

필자는 한국어를 배운 적이 없다. 내 나이에 한국어를 배우려면 천국에나 가서야 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수년 전에 러시아어를 공부한 적이 있다. 먼저 러시아어가 쓰여진 키릴 알파벳을 배워야 했다. 두 번째로, 영어에는 없지만 러시아어에 있는 여러 가지 소리를 내는 방법을 배웠다. 그리고 나서 어휘와 문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만일 좀 더 공부했더라면, 수사학과 표현법, 시 등을 배우기 시작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로 꿈을 꾸기도 했을 것이다.

 

          So it is with the language of Biblical symbolism. We start with specific symbolic items: trees, stones, stars, people, animals. Then we look at how these things are put together in various configurations, like the Tabernacle and the Temple. They we begin to appreciate how these things and these configurations change in time, so that stones become glorified stones (gold and gems), air becomes glorified air (incense), water becomes glorified water (milk and wine), and so forth. We also observe the Tabernacle changing into Solomon's Temple, then into Ezekiel's Temple, and finally into the New Jerusalem. Eventually it all makes sense and we can dream in Biblical symbolism!

성경적 상징의 언어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먼저 구체적인 상징물들로 시작한다. 나무, , , 사람, 동물 등. 그런 다음 이런 것들이 성막과 성전 등에서 어떻게 다양한 구성을 통해 조합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런 후엔 이런 것들과 그 구성이 시간의 흐름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게 된다. 돌들이 영화된 돌들로(금과 보석), 공기가 영화된 공기로(향료, 물이 영화로운 물로(우유와 포도주), . 또한 구약의 성막 이 솔로몬의 성전으로, 에스겔의 성전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 예루살렘으로 변화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에는 모든 것이 분명해 지고, 우리는 성경적인 상징들로 꿈을 꿀 수 있다!

 

           When children learn their first language, they gradually pick it up from hearing it all the time. Gradually they learn what words mean, and eventually they begin to talk. This is how it is with the language of Biblical symbolism. Almost never does the Bible identify what various symbols mean; we are required to meditate and gradually pick up on the meaning. We must compare Scripture with Scripture, and be open to correction.

어린 아이들이 처음 언어를 배울 때, 말하는 것을 계속 들음으로써 점진적으로 그 언어를 습득한다. 각 단어들의 의미를 점차적으로 배운 후에 결국 말하는 법을 배운다. 성경적 상징의 언어도 같은 방식이다. 성경은 다양한 상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거의 드러내 주지 않는다; 우리는 깊은 묵상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그 의미들을 깨닫게 된다. 성경을 성경으로 비교하고, 늘 수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Proverbs 25:2 tells us that it is the glory of God to conceal things, and the glory of kings to search things out. Both parts of this are important. We see that God has deliberately hidden things in the Bible. He wants us to labor at discovering these things, because the process of seeking them out helps us mature in wisdom. Seeking these matters out is a royal task; it makes us fit to be rulers in God's world.

잠언 25 2절에 “일을 숨기는 것은 하나님의 영화요 일을 살피는 것은 왕의 영화니라”고 말하고 있다. 이 구절에서 두 부분 모두 중요하다. 하나님께서는 의도적으로 성경에 어떤 부분은 숨기고 계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이런 부분들을 찾아내는 노력을 들이기를 원하시고, 그 과정을 통해 우리의 지혜가 더 성숙해 지게 된다. 이런 것들을 찾아내는 것은 왕의 임무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의 통치자로 합당한 자로 만들어 간다.

 

           As I conclude this lecture, let me simply give some illustrations. We shall do this by stream of consciousness. That is, we shall let one Biblical fact lead us to another and to another, without fear. We have histor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o warn us if we get into dangerous territory. We have other Bible students to converse with us to challenge us if they think we have made a mistake. Yet, we should delight in God's Word and rejoice at all it tells us and in all it challenges us to think about.

 강의를 마치면서 몇 가지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 보자. , 성경의 한 가지 사실이 우리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인도할 때 두려움 없이 그 흐름을 따라가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위험한 지점으로 흐른다면, 역사신학과 조직신학이 우리에게 적절한 경고를 줄 것이다. 만일 우리가 실수를 한다면, 다른 성경 연구자들이 우리를 도전하도록 서로 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 님의 말씀 안에서 즐거워하고, 그 말씀이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모든 것과, 우리로 하여금 생각해 볼 것을 요구하는 모든 것 안에서 기뻐해야 할 것이다.

 

           I always like to start with Genesis 32, where we find Jacob wrestling with the angel of the Lord. We read that the Lord touched Jacob on the inside of his thigh and dislocated it. Then we read this in verse 32: "Therefore, to this day the sons of Israel do not eat the sinew of the hip which is on the socket of the thigh, because He touched the socket of Jacob's thigh in the sinew of the hip." No explanation is given for this at all, but the Holy Spirit has recorded it for us to learn from. What does it mean?

먼저 야곱이 하나님의 천사와 씨름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 창세기 32장으로부터 시작해 보자. 하나님께서 야곱의 허벅지 안쪽을 쳐서 관절이 어긋나게 했다는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32절에 “그 사람이 야곱의 허벅지 관절에 있는 둔부의 힘줄을 쳤으므로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금까지 허벅지 관절에 있는 둔부의 힘줄을 먹지 아니하더라” 라고 나온다. 그것에 대한 설명은 전혀 나오지 않지만, 성령께서는 우리로 하여금 배울 것이 있기 때문에 기록하셨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무슨 의미일까?

 

Well, first, it only makes sense if we know that there is an analogy between people and animals. The Bible is presupposing that analogy, and of course the analogy between people and animals underlies the sacrificial system and many of the sayings in Proverbs. Second, the idea seems to be that anything that comes directly in contact with God takes on symbolic holiness. Jacob has received a holy wound that will prevent him from chasing after sheep and goats, and will force him to rule his flocks by his words alone, by commanding his sons. The sons of Israel reminded themselves of this event by setting aside the equivalent muscle on any animal they slaughtered to eat.

먼저 사람과 동물 사이에 유비가 있다는 것을 안다면 훨씬 의미가 분명해 진다. 사람과 동물 간의 유비는 성경에 나오는 희생 제사의 체계와 잠언의 여러 곳에서 전제되고 있다. 두 번째로, 하나님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모든 것은 상징적인 거룩함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인다. 야곱은 거룩한 부상을 입어서 자신의 양과 염소를 쫓아다닐 수 없게 된다. 결국 아들들에게 말로만 명령하여 가축들을 보살피게 된다. 이스라엘의 아들들은 동물을 잡아먹을 때 이 둔부의 힘줄을 따로 떼어 두어서 그 사건을 기억하도록 하였다.

 

           Let us now move to considering the Tabernacle erected in the wilderness. It is only by making many comparisons that we realize that this structure is a model of the cosmos itself, a microcosm. The highest heavens are pictured in the Holy of Holies, and the firmament is pictured in the Holy Place. The altar is the holy mountain, a portable Sinai, and at least we have a prooftext for this in Ezekiel 43:15, where the visionary altar is called "the mountain of God." The white curtains around the courtyard seem to represent clouds around the portable Sinai.

이제 광야에 세워진 성막으로 우리의 생각을 옮겨가 보자. 여러 가지 비교를 통해 보면, 이 성막의 구조가 우주, 즉 소우주 그 자체의 모형이라는 것을 우리는 깨닫는다. 하늘의 가장 높은 곳은 지성소로 그려지고 있고, 창공은 성소로 그려져 있다. 제단은 성산, 즉 움직이는 시내산을 의미하는데, 에스겔 43 15절에 환상 가운데 나오는 제단을 하나님의 산으로 표현하고 있는 증거 구절을 발견할 수 있다. 장막을 둘러싼 흰색의 커튼은 움직이는 시내산을 둘러싼 구름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More than this, if we look at Exodus 38:24 and 25, we find that the gold used in the Tabernacle itself came to 29 talents and 730 shekels. Any ancient person would recognize 29 as the days in a month, and 730 as two times 365, or two solar years. Similarly, the amount of silver was 100 talents and 1775 shekels, which again an ancient student would realize as five lunar years of 355 days. So, the gold of the Tabernacle was linked with sunlight, and the silver in the courtyard with moonlight.

더욱이 출애굽기 38 24절과 25절을 보면, 성막을 지을 때 사용된 금이 29 달란트와 730 세겔임을 알 수 있다. 고대의 사람들은 누구든지 29라는 숫자가 한 달의 29일을 나타내며, 730 365의 두 배, 즉 양력으로 2년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 차릴 것이다. 비슷하게, 은의 양은 100 달란트와 1,775 세겔인데, 그것은 음력으로 1년에 355일인 5년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챌 것이다. 그러므로 성막의 금은 햇볕과 연결되고, 성막의 은은 달빛과 연관된다.

 

           Five moons and two suns. Five loaves and two fish. This five plus two structure is not uncommon in God's book. Exodus 25-31 gives seven speeches from God directing how the Tabernacle is to be built. As has often been observed, the seven speeches recapitulate the seven days of creation in Genesis 1, so that the Tabernacle is a new symbolic creation. Of the seven speeches, five are introduced by "Yahweh gave word (davar) to Moses, saying," and two are introduced by "Yahweh said ('amar) to Moses."

다섯 개의 달과 두 개의 해. 빵 다섯 덩이와 두 마리 물고기. 이 다섯과 둘의 구조는 하나님의 책에 자주 나타난다. 출애굽기 25장부터 31장에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성막을 지을지를 지시하는 일곱 개의 연설이 나온다. 자주 발견되는 것처럼, 이 일곱 개의 연설은 창세기 1장에 나오는 창조의 7일을 다시 요약하고 있다. 그러므로 성막은 상징적인 새로운 창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일곱 개의 연설 중에 다섯 개는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davar) 이르시되”라고 시작되고, 다른 두 개는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amar)”라고 시작된다.

 

           Not only is the Tabernacle a symbol of the cosmos as God's palace; it is also a symbol of the people of God gathered around Him. Now, because of sin and because Jesus had not yet come to give us forgiveness and glorification, the people are not allowed directly into God's presence. They are present by symbolic representatives. They are present in the gold-covered acacia wood of the boards that form the walls -- gold over wood is glorified wood. They are present at the Table of Face-Bread, the Altar of Incense, and the Lampstand, each of which are golden and adorned with crowns. Israel learned that they were to be bread to one another, to pray for one another, and to teach one another.

성막은 하나님의 궁전으로서 우주를 상징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주위에 모인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을 상징하기도 한다. 죄 때문에, 그리고 예수께서 우리에게 용서와 영광을 주시려고 아직 오시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하나님의 앞에 직접 나아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그 백성들은 상징 적인 대표로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금으로 덧입힌 아카시아 나무로 만든 담 안쪽에 있고, 금으로 덮인 나무는 영화된 나무인 것이다. 그들은 금으로 만들어 지고 꽃받침으로 장식된 떡상과 향단, 등잔대 가운데 있다. 이스라엘은 서로를 먹이고, 서로를 위해 기도하며, 서로를 가르쳐야 한다는 것을 배운 것이다.

 

           The Lampstand, for instance, had on it seven lamps that were made to face forward, looking over at the Face-bread. The twelve loaves of bread were faces that looked back at the lamps. The lamps represented the eyes of God watching over Israel, and since the Lampstand was never put out, God was always watching, to bless or to judge. The Lampstand also had 22 almond blossoms on it, which is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Hebrew alphabet. In Daniel 5, this Lampstand was brought out for Belshazzar's feast, which is literally called a "great bread." The Lampstand observed this bread and shone forth a hand that wrote letters on the wall, a message of judgment.

예를 들어, 등잔대는 일곱 개의 등이 떡상을 바라보면서 앞을 비추게 하였다. 열 두 개의 진설병은 떡 상 뒤에 있는 등을 바라보게 하였다. 일곱 개의 등은 이스라엘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의 눈을 표현하고 있다. 등잔대의 불이 결코 꺼지지 않았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항상 이스라엘을 감찰하시며 복 주시거나 징계하심을 의미하였다. 등잔대는 또한 22개의 살구꽃 모양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히브리 알파벳 22 글자를 의미한다. 다니엘서 5장에서 이 등잔대는 벨사살 왕의 잔치에 등장하게 되는데, 그것을 말 그대로 ‘큰 떡’이라고 불렸다. 등잔대는 이 떡을 향하고 있었고, 심판의 메시지를 벽 위에 쓰던 손을 비추고 있었다.

 

           The society of the world was symbolized by the Tabernacle and its placement. Just as only Moses was allowed on Sinai, so only the ordained priests were allowed to "go up" on the altar. As only Moses went into God's Holy Cloud, only the priests were allowed into the Tabernacle itself. The tribes of Levi, who were set up as guards, were camped on the four sides of the Tabernacle. The tribes of Israel, who were counted and mustered as God's holy army, were camped around the Levites. Outside of the official camp were the gentiles, the multitudes who came up from Egypt with Israel, and who gradually blended into Israel during the forty years in the wilderness.

성막과 그 내부의 위치는 이 세상 사회를 상징하고 있다. 모세만이 시내산에 오르도록 허락되었던 것처럼, 기름 부음 받은 제사장들만 제단에 ‘오르도록’ 허락되었다. 모세만이 하나님의 거룩한 구름 가운데 들어갔던 것처럼, 제사장들만이 성막 내부에 들어갈 수 있었다. 성막을 수종 드는 자로 세워진 레위 지파는 성막의 사면에 진을 쳤다. 하나님의 거룩한 군대로 계수되고 모아진 이스라엘의 지파들은 레위 지파를 중심으로 진을 쳤다. 공식적인 진의 외부에는 이방족속들, 즉 애굽으로부터 이스라엘과 함께 나와서 광야의 40년 동안 점진적으로 이스라엘 안으로 섞여 들어온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Once we left the wilderness, the land became the equivalent of the camp. The land was divided up into tribal regions, and was only for the circumcised people of Israel. Outside the land lived the gentiles, an area pictured as a sea around the land.

광야의 시기를 떠난 후에는 땅이 진의 역할을 하게 된다. 땅은 각 지파 별로 나누어지는데, 이 땅은 할례 받은 이스라엘 백성에게만 속한 것이었다. 그 땅 주변에는 이방인들이 살았는데, 이 지역은 땅을 둘러싼 바다로 그려지고 있다.

 

           Indeed, in order to travel to Assyria, Jonah must move through the sea, first on a boat, and then on a special organic submarine. Because of this, we should be alert when Jesus does not pick shepherds but fishermen to be His disciples. This is a sign that the gospel is going worldwide. Of course, the kingdom of God had already moved powerfully into the gentile world in the period before Christ. Zechariah 2 and 6 say that God would spread His people out as the four winds of the Spirit, bringing rest to some of the nations. Similarly, in Ezekiel 47, the river flowing out from the post-exilic Temple brings the fish of the nations into the nets of Israel, though that preliminary river only flows in one direction and not to the whole world.

사실 앗시리아로 여행하기 위해서 요나는 바다를 통과해야 했다. 먼저는 배를 타고, 그 다음은 특별히 살아있는 잠수함(큰 물고기)을 타고 말이다. 이것 때문에, 예수님께서 목자들을 그의 제자로 삼지 않으시고 어부들을 제자로 삼으셨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은 바로 복음이 세상 끝까지 흘러갈 것을 의미한다. 물론, 하나님의 나라는 예수님이 오시기 전에도 이방 세계로 능력 있게 전파되고 있었다. 스가랴 2 6절에 보면,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하늘 사방에 바람 같이 흩어지게 하셔서 열방의 일부에게 안식을 주셨다. 비슷하게, 에스겔 47장에는 포로기 이후의 성전에서 흘러나오는 강이 열방의 물고기를 이스라엘의 그물에 걸리게 한다. 비록 그 예표적인 강은 전세계로 흘러가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흐르지만 말이다.

 

           As a sign of world conquest, the disciples catch 153 large fish in John 21. That number is significant. Indeed, any time we are told a number we need to think about it. In this case, 153 is the triangular of 17, which is 10 + 7. Now, in the old time there were 70 nations of the world, 10 times 7, as we see from Genesis 10 and from the Feast of Ingathering where 70 bulls were offered on behalf of the 70 nations. Now we have another permutation of these two numbers of totality, 7 and 10. Modern Western people are taught square numbers in school: 2x2=4; 3x3=9. If you lay out four lines of four dots, you have a square. Modern people are not taught triangular or hexagonal numbers, but ancient people knew them well. The triangular of 17 is one dot, then two, then three, then four, and so forth up to 17, which makes a triangle. Thus, St. Augustine, an educated ancient man, immediately sees that 153 fish is the triangular of 17, and a symbol of all the nations.

세상을 정복할 것에 대한 증표로서 제자들은 요한복음 21장에서 153마리의 큰 물고기를 잡는다. 153이라는 숫자는 의미심장하다. 사실 언제든지 숫자가 나오면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경우에153 10 + 7로 이루어지는 17의 삼각수이다. 창세기 10장에 수장절 때 70개의 나라를 대표해서 70마리의 수소가 바쳐진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고대에는 70개의 세상 나라가 있었다. 여기서 70 7 10배수이다. 한편 완전을 의미하는 7 10, 이 두 가지 숫자를 사용한 또 다른 예를 발견할 수 있다. 현대 서구인들은 학교에서 제곱수에 대해서 배운다. 예를 들면 2의 제곱은 4이고 3의 제곱은 9이다. 만일 네 개의 점을 잇는 네 개의 선을 그리면, 당신은 하나의 정사각형을 그리게 된다. 현대인들은 삼각수나 육각수에 대해서는 배우지 않는다. 하지만 고대인들은 그것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다. 1 7의 삼각수는 한 점, 그리고는 두 점, 그리고 나서 세 개의 점, 그리고는 네 개의 점, 등등해서 17 개의 점을 밑변으로 삼각형을 그리는 점을 찍고, 그 점의 수를 계수한 것이다. 따라서 잘 교육받은 고대인이었던 어거스틴은 153마리의 물고기가 17의 삼각수인 것과 모든 열방에 대한 상징인 것을 곧바로 알 수 있었다.

 

           And what about these numbers? Ancient scholars would have recognized 666 as the triangular of 36, which is 6x6. They would have realized that the 276 people rescued by Paul from the Roman ship in Acts 27 is the triangular of 23, and 23 is a significant number. It is 22 plus 1, and it comes up a number of places in the Bible, such as the 2300 evenings and mornings of Daniel 8, or the number of lines in such Psalms as 16, 29, and 46, or in Psalms 25 and 46, which have twice 23 lines. The number may mean 22 as the number of Hebrew plus one for the rest of the world, and the 276 people who leave the Roman ship to unite with Paul is a symbol of both Jew and Gentile moving into the new world. Maybe.

이 숫자들은 어떤가? 고대의 학자들은 666 6 의 제곱수인 36의 삼각수인 것을 알아차렸을 것이다. 사도행전 27장에 로마 군함으로부터 바울에 의해 구출 받은 자의 수가 276명이었는데, 그 수도 23의 삼각수임을 알았을 것이다. 여기서 23이란 숫자 또한 중요한 숫자이다. 22 더하기 1로 이루어진 이 수는 성경에 여러 번 나타난다. 다니엘서 8장의 2300 주야, 시편 16편과 29, 46편이 23 줄로 이루어져 있고, 시편 25편은 23의 두 배수인 46줄로 이루어져 있다. 그 수는 히브리인을 나타내는 22와 그 나머지 세상을 나타내는 1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로마 군함을 떠나 바울을 만나는 276명의 사람들은 신세계로 들어가는 유대인과 이방인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What about other special numbers? A hexagonal number is made from making six dots in a hexagram, putting twelve around that, then 18 around that, and so forth. Well, in Esther 1:1 we find that the Great King (which is the meaning of "Ahasuerus") rules 127 provinces. Now, we could doubtless count those provinces in other ways, widening or narrowing our focus. But the author of Esther wants us to think of 127, which is a hexagonal number with a dot in the center. The dot is the king, and he is surrounded by six hexagons: 6 + 12 + 18 + 24 + 30 + 36. This is a symbol of a perfect kingdom, and the choice of this number is no accident. And once again, an educated ancient scholar priest would have meditated on this and recognized it quickly.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다른 숫자들은 없을까? 육각수는 육각형의 꼭지점에 6개의 점을 찍어서 만들 수 있다. 그 다음에는 12개의 점을 그 주위에 찍고, 그 다음은 18개 등. 에스더 11절에 위대한 왕 아하수에로는 127개의 지방을 다스리고 있다. 이 지방들의 개수는 우리가 보는 관점에 따라 더 크게 잡을 수도 있고 더 적게 잡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에스더서 기자는 127이라는 육각수에 중간점 하나를 더한 숫자를 기억하기를 원한다. 그 점은 왕을 의미하고, 그 왕은 6개의 육각형에 둘러 싸여 있다: 6+12+18+24+30+36 =126. 이것은 완벽한 왕국을 상징하며, 그 숫자는 우연히 사용되어진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잘 교육받는 고대 제사장이라면 이 점에 대해 깊이 묵상했을 것이며, 그 의미를 곧 바로 알아 차렸을 것이다.

 

           Also, the feast in Esther 1 lasts 187 days, which is the exact number of years from the 3rd year of Darius the Great (who is the Great King here) to the end of the Persian Empire at the conquest of Alexander. As Christians, we are not surprised but we are delighted to see God's hand in this amazing fact.

또한 에스더 1장에 나오는 잔치는 187일 동안 계속되었는데, 이것은 다리오 왕 제 3년부터 알렉산더의 정복으로 인해 페르시아 제국이 끝나기까지의 햇수와 동일한 숫자이다. 기독교인으로서 우리는 이런 놀라운 사실에 놀랄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보고 즐거워해야 할 것이다.

 

           What about other interesting numbers? We know that for a fact Abraham lived 175 years. The Bible says so. And Isaac lived 180 years. And Jacob lived 147 years. These are historical facts. But notice this:

다른 흥미로운 숫자를 없을까? 아브라함이 175년을 살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성경이 그렇게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삭은 180년을 살았다. 야곱은 147년을 살았다. 이것들은 역사적인 사실들이다. 그러나 다음을 잘 살펴보자.

 

         Abraham          175      7 times 5 squared

         Isaac               180      5 times 6 squared

         Jacob            147     3 times 7 squared

아브라함 175=  7 x 5의 제곱

이삭 180 = 5 x 6의 제곱   

야곱 147 = 3 x 7의 제곱

 

So, what does this mean? I really do not know. But I know that it has some meaning. It is not an accident.

그렇다면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필자도 잘 모르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분명히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냥 우연은 아니라는 것이다.

 

          Speaking of numbers: Gordon Wenham in his commentaries on Genesis and Numbers refers to essays by M. Barnouin that demonstrate that the lifespans of the patriarchs in Genesis 5 correspond to the synodical periods of the planets, the moving stars in the zodiac. The number of days it takes for Mars for Jupiter to return to the same place in the sky is called its synodical period. Those numbers are in these lifespans. The ancient patriarchs are symbolized as in the firmament, mediating between God and humanity. Similarly, the same numbers show up in the census figures in Numbers 1 and 26, again showing Israel as ruling in the heavens and over the earth. I refer you to Wenham's commentaries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숫자에 대해 고든 웬함은 그의 창세기와 민수기 주석에서 엠 바누인의 논문을 인용하면서 창세기 5장에 나오는 족장들의 수명은 황도대 안에서 움직이는 행성의 근지점 기간과 일치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화성이나 목성이 하늘의 같은 지점으로 돌아오는 기간을 근지점 기간이라고 한다. 이 숫자들이 족장들의 수명에 나타난다. 고대 족장들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연결시키는 궁창으로 묘사되고 있다. 비슷하게, 민수기 1장과 26장의 인구조사 결과에도 똑같은 숫자들이 나타난다. 이것 또한 이스라엘이 하늘과 땅을 다스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 분들은 웬함의 두 주석을 참고하기 바란다.

 

나가면서

           As I draw this lecture to a close, let me make a few more comments on the Tabernacle and Temple. The Tabernacle was covered over with a curtain of goat skin, making it appear as a dark object. As such, the Tabernacle was a symbolic reproduction of the cloud that appeared over Sinai. It symbolized God's cloud palace, with Yahweh enthroned in the Holy of Holies. As we look at the rituals performed at the Tabernacle, we find no music, no sounds, no outward glory.

강의를 마치면서, 성막과 성전에 대해 몇 가지를 더 언급하고자 한다. 성막은 염소의 가죽으로 만든 휘장으로 덮여 있었는데, 그 때문에 어둡게 보였다. 다시 말하면, 성막은 시내산을 덮고 있던 구름을 재현하는 상징이었다. 그것은 지성소의 보좌에 앉으신 여호와 하나님의 구름 궁전을 상징하였던 것이다. 성막에서 행해진 의식들을 살펴 보면, 음악이나 소리, 혹은 외적으로 드러나는 영광스런 모습들은 발견할 수 없다.

 

           When we come to the Temple of Solomon, however, things are very different. We learn from 1 Chronicles 16 that a generation before the Temple was built, God had David set up two choirs and orchestras to sing the Psalms on two mountains, one with the tent for the Ark of the Covenant in Jerusalem, and one with the rest of the Tabernacle at Gibeon. This great music shone out over the valleys as an outward glory. Just as the Tabernacle was a symbol of God's cloud, so the Temple with its outward glory is a symbol of this glorious music. Many silver lampstands were positioned around the Temple to make it blaze with light at night. A huge bronze altar, a great bronze ocean of water, two lines of very large water chariots that pictured water flowing from the Temple down to the altar, and two large freestanding pillars next to the door of the Temple, representing king and priest guarding the holiness of God -- all of these great things were visible manifestations of God's kingdom. The queen of Sheba came to see this great glory. Indeed, when the people eventually went into exile, the Babylonians wanted to hear the songs of Zion, because no other nation had this kind of orchestra and chorus (Ps 137).

그러나 솔로몬의 성전으로 오면, 모든 것이 달라진다. 역대상 16장에 보면, 성전이 완성되기 한 세대 이전에 하나님은 다윗으로 하여금 두 그룹의 찬양대와 오케스트라를 세워 두 군데 산에서 시편을 부르게 하였다. 한 그룹은 예루살렘에 있는 언약궤 앞에서, 또 다른 한 그룹은 기브온에 있는 산당에서 찬양하였다. 골짜기에 울려 퍼진 이 아름다운 음악은 외적으로 드러나는 영광을 보여주고 있다. 성막이 하나님의 구름을 상징하는 것처럼, 외적인 영광을 가진 성전은 이 영광스러운 음악을 상징하는 것이다. 성전 주위에는 많은 은으로 만든 등잔대를 둘러 놓아 밤에도 빛이 꺼지지 않게 하였다. 놋으로 만든 거대한 번제단, 놋으로 부어 만든 커다란 바다, 성전에서 제단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그려놓은 받침 수레,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함을 지키는 왕과 제사장을 상징하는 성전 입구 옆에 있는 두 개의 큰 기둥들 -- 이런 것들은 모두 하나님의 통치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들이었다. 시바의 여왕은 이 위대한 영광을 보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오기도 했다. 사실 이스라엘이 끝내 포로로 잡혀 갔을 때, 바벨론인들은 시온의 노래 듣기를 좋아했는데, 그 당시 다른 나라에는 그런 종류의 음악대와 찬양대가 없었기 때문이다( 137).

 

           But if the Tabernacle reminded the people of Sinai, and the Temple manifested God's kingdom and glory, what about the period after the exile? We call this time the Imperial or Oikumene Covenant, and it has distinctive features. The land given to the Jews is much smaller, but is now entirely a Holy Land, no longer the "land of milk and honey." Jerusalem is no longer the city of David but is called the Holy City. The Jews are sent forth as the four winds of heaven into the empire, the oikumene. Isaiah had prophesied that in the age to come God's mountain would be lifted up as the highest of all mountains and that all nations would come to it to learn about God (Isaiah 2). This prophecy begins to be fulfilled in a preliminary way during the post-exilic Imperial age.

그러나 성막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시내산을 기억나게 했고, 성전은 하나님의 나라와 영광을 나타냈다면, 포로기 이후에는 어떠했는가? 우리는 이 시기를 제국 혹은 온 세상적 언약기라고 부르는데, 이 시기에는 몇 가지 특징적인 사항들이 있다. 유대인들에게 주어진 땅은 훨씬 더 작지만, 전적으로 거룩한 땅이 되었고, 더 이상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아니다. 예루살렘은 더 이상 다윗의 성이 아니라 거룩한 성이라 불린다. 유대인들은 하늘의 네 바람으로서 제국 즉 전 세계로 흩어지게 된다. 이사야는 장차 오는 시대에 하나님의 산이 모든 산들보다 더 높여질 것을 예언하였고, 모든 열방이 그 산으로 와서 하나님에 대해 배울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2). 이 예언은 포로 후 제국시대 동안에 1차적으로 성취되기 시작한다.

 

           And so, Ezekiel is shown a visionary Temple that is built like a gigantic pyramid, a symbolic mountain, with serieses of steps leading up to each new level. It features a high wall with large open gates. All people are invited in to worship, but the gates are guarded to keep out the wicked. The water chariots of Solomon's Temple have become a river that flows from the Temple out to the edge of the gentile world, but not yet to the whole world.

또한 에스겔은 산을 상징하는 거대한 피라미드 모양으로 지어져, 각각 새로운 단계로 이끄는 일련의 계단을 갖춘 성전의 환상을 보게 된다. 거기에는 높은 성벽과 커다란 열린 문들이 있다. 모든 사람들이 와서 경배하도록 초청되지만, 그 문들은 악인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제되어 있다. 솔로몬 성전에 있던 받침수레들은 성전으로부터 이방 세계의 가장 자리로 흘러가는 강이 된다. 그러나 아직 전 세계로 흐르지는 않는다.

 

           Now of course, all three of these, Tabernacle, Kingly Temple, and visionary Temple, point toward the New Covenant; but the specific symbol for the New Covenant is the New Jerusalem, to which we have already come according to Hebrews 12:22. Whatever future manifestations of this City may come,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since we are in Christ, we are already positioned in the Spiritual reality of the New Jerusalem. After all, Revelation 22:17 tells us that the Spirit invites people right now to come to the City and receive the water of life. The preceding three temples of God were located in the land, because God had given us land, and the prophets wrote their messages to other lands. Now God has given us a city, and the apostles wrote letters to cities. The river of the heavenly Jerusalem flows down in all four directions and carries the gospel to the ends of the earth, gradually making all the earth into a Godly garden-city.

물론 성막과 왕의 성전, 그리고 환상 가운데 보인 성전, 이 세 가지는 모두 새 언약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새 언약에 대한 더 구체적인 상징은 히브리서 12:22에 나오는 새 예루살렘을 향하고 있다. 새 예루살렘 성의 미래의 모습이 어떠하든지 간에,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음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이미 새 예루살렘의 영적 실재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요한계시록 22:17은 성령께서 바로 지금 새 예루살렘으로 와서 생명수를 받으라고 사람들을 초청하신다고 말씀하고 있다. 이 전의 세 가지 하나님의 성전은 하나님께서 주신 땅 위에 세워졌고, 선지자들은 이방 땅을 향한 말씀을 기록하였다. 이제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한 도성을 주셨고, 사도들은 다른 도성들을 향하여 편지를 썼다. 하늘의 예루살렘 성에 있는 강물은 네 방향으로 흘러서 복음을 땅 끝까지 전달해 주며, 점진적으로 온 땅을 하나님의 동산-도성으로 만들어 간다.

 

 



 

(1)Herman Bavinck, The Doctrine of God, trans. William Hendriksen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18] 1977), p. 91.

(2)John M. Frame, The Doctrine of the Knowledge of God (Phillipsburg,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987), p. 230.

(3) Bavinck, p. 89.

(4)Cornelius Van Til, "Nature and Scripture," in Paul Woolley, ed., The Infallible Word: A Symposium, 3d edition (Phillipsburg,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967), p. 273.

(5) See Frame, pp. 207-212.

(6)See the useful discussion in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4th ed. (Grand Rapids: Eerdmans, 1949), p. 89.

(7)Bavinck, p. 94.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