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14(오후 7:30분에 ivf 중앙회관 1층 서점 산책에서 기독교 윤리실천 운동과 ivp가 주최하는 기윤실 월례포럼이 강영안 교수를 모시고 기독교의 두 얼굴다원주의 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이란 주제로 모였다.

사회는 신동식 목사가 맡았다시작하는 말에서 신목사는 우리 사회의 심각한 갈등구조가 극에 달하고 있다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특히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시대를 분별하고 해석하며 살아야 할까라는 문제의식을 던졌다.

이에 강영안 (서강대 철학과전 기윤실 공동대표)교수가 세월호 문제를 언급하면서 발제를 시작하고 질의 응답의 토론 시간을 가졌다.

▲ 기윤실 월례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세월호를 통해 본 진보와 보수의 현실

최근 세월호 실종자 부모들이 수색을 중단해 달라는 요청을 했다개신교회에서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을 보지는 못했다가톨릭에서는 성명서를 냈다개신교회 일부에서 공감을일부는 반대하고 심지어 극우파에 동조하기도 했다노무현 대통령 당시 이라크 파병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지만교회 안에서 보수와 진보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진보와 보수는 과거에는 1960-80년대에서는 신학대학원이나 교파로 분류되었다진보는 한신감신 정도이고 통합은 반반합동합신고신은 보수였다. NCC 소속 교회와 그렇지 않은 교회를 진보와 보수로 분류할 수 있는데민주화를 거치면서그리고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사실상 교회의 진보와 보수 구분은 없어졌다합동합신고신기장 교단 안에서 세대에 따라서 정치적 성향이 나누이고 양자 사이의 대화는 없는 형국이다그리고 가나안 성도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대개 진보이다보수적인 교회의 방식에 동조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가나안 성도가 된 것이다.

과거 WCC와 관련하여 통합과 합동의 분리가 있었고나중에 2002년도 이라크 전쟁이 일어났을 때 보수 쪽은 광화문에서 찬성집회를 하고 진보 쪽은 반대 집회를 열었다세월호 사건은 그 연장선에 있다고 본다.

세월호 사건을 두고 혹자는 교통사고와 같은 사고 중 하나라고 말했다하지만 세월호 참사는 사고(accident)가 아니라 사건(event)이다보통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특별히 드러나는 것은 없다하지만 세월호 참사는 많은 것을 드러냈다그것이 사건이다무언가 감추어졌던 것이 드러나는 것이 사건이다이번 세월호 사건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낯이 드러났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악셀 호네트가 기술사회를 위험사회라는 개념으로 현대를 분석하는 것이 모호하게 다가왔는데 이번에 아주 구체적으로 드러났다세월호 문제 중 하나가 평형수이다.... 그리고 그 밑바탕에 부정이 드러났다관피아도 등장하면서 사회의 부정의하고 부패한 모습이 드러났다나아가 사건이 발생했음에도 누구 하나 책임지려고 하지 않는 무책임한 사회임이 드러났다.

기독교가 지향하는 사회는 위험한 사회보다는 안전한 사회부패하고 부정직한 사회보다는 정의로운 사회무책임한 사회보다는 자신의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밖으로부터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사회이다이 사건을 접하여 한 걸음 물러나 생각하면 과연 한국 교회는 안전한 교회평화로운 교회정의로운 교회책임지고 응답하는 교회인가 자문해 보게 된다아마 갸웃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강영안 교수가 강의하고 있다.

왜 한국사회가 위험사회가 되었는가?

여기까지 하고 나면 생기는 질문이 왜 이렇게 되었는가이다왜 한국 사회가 위험사회가 되었고 무책임한 사회가 되었고 불의한 사회가 되었는가그리고 이와 더불어 한국 교회가 왜 여기에 동승하고 한국 사회와 구별할 수 없는 얼굴을 드러내고 있는가. 20세기의 몇 가지 경험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겠다첫째는 1945년 이전의 일제 강점의 경험과 6.25전쟁의 경험이 깊이 깔려 있다지금 세월호 사건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하지만 그 기저에는 6.25 전쟁이 깔려 있다. 6.25는 한국인에게 억압된 기억으로 남아 있다이것이 가치 설정의 중요한 내항이다한국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가생존이 된 것이다사회 정의책임안전평화 같은 가치는 사치스러운 가치가 되고오직 살아남는 것이 유일한 가치가 되었다우리 부모선배들이 다 그런 가치를 가지고 살아왔다.

한국 사회가 잘 살게 된 것은 80년대를 지나면서부터다그 이전과 그 이후 세대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정치적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여기서 나타난다. 6.25를 경험한 세대가 전쟁 이후 현재까지 이루어진 것에 대한 만족하는 것을 전후 세대는 잘 이해하지 못한다이것은 이론적이기보다는 오히려 본능적이다.

이것이 한국 교회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언젠가 화란에서 한국 문화와 기독교의 상관관계에 대한 발표를 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발표한 적이 있다당시에 두 가지 축으로 분석했다하나는 역사적으로 초기-중기-후기다른 하나는 종교즉 유교도교불교를 가지고 분석했다윤치호의 유교에서 기독교로의 개종길선주의 도교에서 기독교로의 개종조용기의 불교에서 기독교로의 개종을 가지고 각 종교와 기독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당시에 친일파 윤치호와 한국 교회를 망친 조용기를 다루었다고 비난한 사람도 있었다하지만 당시에는 한국 교회의 신앙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고자 다룬 것이었다.

조용기 목사가 당시 최자실 목사와 개척했을 때 내세운 것은지금 여기의 구원과 복음이었다당시 한국 기독교는 말세론이 지배하고 있었다내세 중심적 신앙이었다그런데 이 흐름이 전환된 것은 개인적으로는 순복음의 영향이라고 본다물론 순복음에서는 죽어서 천국 간다고 가르치기도 했지만 동시에 지금 여기서 복을 받고지금 여기서 부자가 되고지금 여기서 병 낫고 건강한 것이 중요해진 것이다. 1970년대가 되면 이미 순복음과 같은 유형의 신앙이 교파를 막론하고 들어가게 된다.극단적 현세 중심주의로 전환된 것이다복음이 현세주의적인 방식으로 토착화한 것이다한국 종교를 분석하는 사람들은 한국 종교의 특징으로 현세성을 꼽는다기독교도 마찬가지다.

1970년대에 기장 쪽 사람들크리스찬 아카데미 사람들... 소위 강원룡 목사가 키운 사람들이 김대중 정권 때 활동한 이후에 교파 단위의 진보 흐름은 사라졌다지금은 보수 교단 내에서 갈라져 있다.진보 신학에서 오용된 경우 중 하나가 칼 바르트다당시 진보적 신학을 하는 사람들이 칼 바르트를 끌어왔다그런데 바르트는 유럽에서는 매우 보수적인 학자로 분류된다한국에서만 나타나는 매우 독특한 특징이다.

신앙이 보수적인 사람은 정치적으로 보수적이고 신앙이 진보적인 사람은 정치적으로도 진보적이다.보수적인 한국 교회는 정치적으로도 보수적이다세월호 사건을 지나며 나타난 친정부적인 교회의 모습을 통해 드러났다그런데 세월호 사건이 지나며 저항한 사람들 가운데서는 매우 신앙적으로 보수적인 사람도 있었다단식투쟁을 한 방인성 목사는 실제로는 매우 보수적인 신학을 가졌다.

 

신학은 보수행동은 진보적인 것이 좋다.

가장 좋은 형태는 신학은 보수적이더라도 사회 문제를 두고 행동하는 것은 진보적인 것이 합당한 신앙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물론 보수와 진보라는 틀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좋지는 않다보수라고 해서 무조건 과거의 것을 고수해야 하거나 진보라고 해서 무조건 새로운 것을 추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고 하면 철저하게 복음에 충실해야 한다.

스피노자는 모든 개체 산물이 추구하는 것은현재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라고 본다존재 유지 경향이다이것을 깨뜨리는 것이 복음이다끊임없이 혁신하고 변화하는 것이다변화에는 복음의 기준이 있다그렇다면 단지 보수냐 진보가 아니라복음의 혁신적인 요소를 제안할 수 있다.

이후 질의응답이 길게 이어졌다가톨릭의 진보와 개신교의 진보 비교와 보수 교회의 신학적 쇄신의 필요성가나안 성도와 다원주의의 연관성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종보다는 삶의 감화를 강조한 것의 진의서구교회의 쇠퇴 원인 등이 논의되었다.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