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9세 남성 47%·여성 33%는 미혼…혼외자 출생 7천700명

통계청, 분석…여성 경제활동 늘었지만 가사 부담은 여전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2549세 남성 중 절반 정도는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3명 중 1명은 미혼이었다.

통계청이 '인구의 날'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2천건으로, 1970(295천건)보다 103천건 감소했다.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다. 남녀 간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2.7)보다 소폭 줄었다.

통계청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통계청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

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35.3%에서 201540.2%, 202047.1%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22.6%, 201527.1%, 202032.9%로 계속 늘었다.

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9천명으로, 10년 전인 2012485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 출산율도 2012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다.

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다.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다.

법적 혼인 상태가 아닌 혼외자 출생은 20217700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했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다.

고용률도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60.0%까지 올랐다.

경력 단절 여성은 1554세 기혼 여성 중 17.2%를 차지했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고 결혼(26.3%), 임신·출산(22.8%)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가사노동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했다.

코닷-연합 제휴 재사용 금지
코닷-연합 제휴 재사용 금지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부 중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과 아내 모두 20%가량에 그쳤다.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도 2019년 기준으로 남자가 56, 여자가 3시간 13분으로 차이가 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도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54, 아내는 3시간 7분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4천만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다.

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80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 비중은 46.4%까지 늘어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생산가능인구(46.1%)의 비중보다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은 1302천명으로 2012년보다 338천명 늘었다.

다문화 가구는 2021년 기준 38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7%를 차지했다.

외국인을 우리나라 국민으로 수용하는 정도는 10점 만점에 5.3점이었다.

trauma@yna.co.kr

()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