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 "교육당국 통계·지원방안 미흡…체계적 지원책 필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4년 사이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ADHD 학생 지도에 대한 제대로 된 매뉴얼이나 지원책이 없어 교사들이 수업과 생활지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개인의 역량으로 견뎌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8~2022ADHD 진료인원 현황' 자료를 보면 2018ADHD 진료를 받은 만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은 모두 44741명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36469, 여자가 8272명이다.

이에 비해 2022618ADHD 진료인원은 81512명으로 2018년과 비교해 82.19%(36771) 급증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63182, 여자 18330명이다.

교육당국에 등록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올해 4월 기준 109700명가량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규모다.

특히 학부모가 단순히 '주의가 산만하다'고 판단해 병원 치료나 상담을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일선 교사들의 지적을 고려하면 실제 ADHD 아동·청소년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이처럼 ADHD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을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김인향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청소년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진단 기준은 바뀌지 않았고, 유병률 자체가 늘었다기보다는 질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선생님들도 ADHD가 병이고 치료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생긴 것 같고, 방송의 영향도 있어 부정적인 편견이 해소되고 있다""실제로 (ADHD) 치료받으면 증상이 많이 호전되는 등 치료의 이득이 크고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ADHD 문제행동 대응 매뉴얼이나 지원대책 등을 갖고 있지 않은 데다 교사가 학부모에게 상담·치료를 요구하기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늘어나는 ADHD 학생을 지도하는 일이 교사 개인의 책임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4년 사이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ADHD 학생 지도에 대한 제대로 된 매뉴얼이나 지원책이 없어 교사들이 수업과 생활지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개인의 역량으로 견뎌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4년 사이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ADHD 학생 지도에 대한 제대로 된 매뉴얼이나 지원책이 없어 교사들이 수업과 생활지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개인의 역량으로 견뎌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기학생 지원기관인 위(Wee)센터 등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역시 학부모가 자녀의 문제 행동을 인식하고 상담·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에 가능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에서는 ADHD뿐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학생을 파악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통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정서·행동 검사를 시행해서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병·의원 연계 지원을 해주는데 어쨌거나 병원에 가는 것은 학부모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권본부장은 "대부분의 교사가 학부모에게 힘들게 에둘러서 (아이의 문제를) 말하면, 돌아오는 것은 '집에서는 멀쩡한데 왜 이상한 애로 만드냐?'는 반응이다"라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려면 국가가 ADHD와 경계성 장애에 대해 통계관리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김수현 고미혜 기자 = cindy@yna.co.kr

()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