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거래로 우크라 사태 장기화·한반도 안보 위협 가능성

제재 무력화 우려 속 서방 맞대응 수위 고조 전망…금주 유엔총회 주목

서방의 따가운 시선에도 러시아가 자국을 공식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성껏 대우하며 북러 협력 강화를 암시했다.

서방과 대립하고 있는 두 나라가 밀착하면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한반도 상황을 비롯한 국제 정세가 격랑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정은 환송하는 러시아 군악대(연해주 AFP=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러시아 연해주에서 러시아 방문을 마치고 북한으로 돌아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위해 러시아 군악대가 연주하고 있다. [러시아 천연자원부 제공] 2023.9.17
김정은 환송하는 러시아 군악대(연해주 AFP=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러시아 연해주에서 러시아 방문을 마치고 북한으로 돌아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위해 러시아 군악대가 연주하고 있다. [러시아 천연자원부 제공] 2023.9.17

러시아는 17(현지시간) 김 위원장이 북한으로 돌아가기까지 56일간 그가 지나는 곳마다 각종 환영 행사와 군사시설 시찰 등 빼곡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가 12일 북한-러시아 접경지인 하산역, 13일 정상회담이 열린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인근 역 등에 도착할 때마다 환영 행사를 열었고, 이날 북한을 향해 떠날 때는 환송식을 열어 배웅했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으로 국제사회에서 궁지에 몰린 러시아가 북한을 '구명줄' 삼아 고립에서 탈출하고 서방에 맞설 힘을 얻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4년 전에 북러 정상회담 때에는 미국과의 핵 담판 실패 이후 국제사회의 고립을 뚫기 위해 안간힘을 쓰던 김 위원장이 절박했었다면, 이번에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에서 부족한 물자를 지원받으려는 푸틴 대통령의 절박함이 더 크게 작용하는 등 처지가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온 상황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김민지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7일(현지시간) 5박 6일간의 러시아 방문 일정을 마치고 전용열차를 타고 북한을 향해 출발했다.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과 미사일 등 군사물자를 제공하고 러시아는 군사정찰위성 확보 등에 필요한 첨단 기술을 지원하는 거래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김민지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7일(현지시간) 5박 6일간의 러시아 방문 일정을 마치고 전용열차를 타고 북한을 향해 출발했다.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과 미사일 등 군사물자를 제공하고 러시아는 군사정찰위성 확보 등에 필요한 첨단 기술을 지원하는 거래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도 지난 13일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서방을 '', '제국주의', '팽창주의자' 등으로 칭하며 적개심을 드러내는 등 러시아와 반서방 연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직접 대면한 시간은 4시간 정도다. 그러나 이후 남은 방러 기간에 김 위원장이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미사일, 잠수함 등 주요 군사 시설을 시찰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때문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으로 고갈되고 있는 무기고를 북한산 탄약 등으로 채우고, 그 대가로 첨단 군사 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한 거래'가 성사된 게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렸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의 재래식 무기를 다량 확보했을 경우 17개월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더욱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

북한이 러시아의 군사 기술을 흡수해 핵·미사일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북러는 이미 연합 군사훈련을 논의하는 중이다. 이 경우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위협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

북한과 무기 거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어서 국제사회가 경계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한에 부과된 유엔 제재를 불이행할 가능성을 대놓고 시사한 상태다.

북러가 뭉칠수록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과 대북 제재를 강화하며 국제적 대러 고립작전의 고삐를 죌 태세다. 이미 대북 제재 위반 시 추가 제재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상황이다.

실제 미국 정부는 북러 정상회담 직후인 지난 14(현지시간) 미국의 기술을 러시아로 이전하거나 대러시아 물자 제공에 관여한 외국 기업 140여곳과 관련자들에 대해 새롭게 제재를 부과, 러시아와 협력하면 동맹도 안 봐주겠다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발신했다.

다만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이 북한이 포탄 등을 러시아에 제공해도 전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이라는 평가를 내놓는 등 그 파괴력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번주 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도 북러 밀착으로 인한 국제 안보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흐름이 이어지면 서방과 반서방 대립이 심화해 신냉전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서방과 대립하는 또 다른 국가인 중국이 러시아와 북한의 반서방 연대에 가세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중국은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고, 미국 등 서방과 경제적으로 많은 교류를 하고 있기 때문에 북중러 공조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한다.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최인영 최수호 특파원 = abbie@yna.co.kr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