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낮을수록 만족도↓…"연령 높아질수록 만족도 하락“

고령층 빈곤율, OECD 회원국 중 2위…기관·대인 신뢰도 하락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개선됐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이 낮을수록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하락한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를 발간했다.

삶의 만족도 20226.5점으로 올라코로나19 이후 개선세

2022년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6.5점으로 전년보다 0.2점 높아졌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010점으로 측정한다.

삶의 만족도는 20186.1점까지 높아졌다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에 6.0점으로 정체된 이후 상승하는 모습이다.

실제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고용률, 대학 졸업자 취업률,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 1인당 국내 여행 일수 등이 개선됐다.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202269.6%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1인당 국내 여행 일수는 201910.01일에서 20205.81일까지 줄었다가 20228.29일로 증가했다.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도 201910만명당 380.3건에서 2021501.9건까지 올랐다가 2022384.7건까지 내려왔다.

[그래픽] 2023 국민 삶의 질
[그래픽] 2023 국민 삶의 질

소득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OECD 38개국 중 35

다만 소득수준별로 삶의 만족도는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만족도는 6.0점으로 100200만원 미만인 가구(6.4)보다 0.4점 낮았다.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는 6.6점으로 이들 가구보다 더 높았다.

소득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는 여전히 최하위권이었다.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는 20202022년에 5.95점으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에 35위였다. 우리나라보다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6), 콜롬비아(5.6), 그리스(5.9) 등이었다.

OECD 평균은 6.69점으로 우리보다 0.74점 높았다.

"연령 높을수록 만족도 하락노년, 물질적 삶에 취약"

이번 보고서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하락한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권다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박사는 아동청소년(1319), 청년(2034), 중장년(3564), 노년(65세 이상) 등으로 구분해 연령대별로 내면적 삶(주관적 만족감), 삶의 역량(교육·건강·여가), 사회적 삶(대인관계·가족관계), 물질적 삶(소득·소비·근로여건) 등을 통계청 사회조사를 바탕으로 측정했다.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의 순으로 만족도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관적인 만족감에 대해 아동청소년은 56.6%가 만족을 표한 반면, 노년은 29.9%가 만족을 표했다.

여가활동에 대해서도 아동청소년은 48.2%가 만족했지만, 노년은 16.6%에 그쳤다.

물질적 삶(아동청소년은 제외)의 경우에도 노년의 만족도가 가장 취약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 1인당 국내 여행 일수 등이 증가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 1인당 국내 여행 일수 등이 증가했다.

노인 상대적 빈곤율 39%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아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 문제는 지표상으로도 드러났다.

66세 이상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202139.3%였다. 이는 OECD 회원 37개국 중 에스토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은 202214.9%로 전년(14.8%)보다 소폭 상승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아홉번째로 높았다.

저임금근로자 비율도 202216.9%1.3%포인트 높아졌다. 저임금근로자 비율은 월 임금 중윗값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임금근로자 비율로 임금소득의 불평등도를 보여준다.

기관 신뢰도 하락정치적 역량감 10년내 최소

시민참여 부문 통계는 주로 악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기관 신뢰도는 202252.8%로 전년보다 2.6%포인트 낮아졌다. 기관 신뢰도는 주요 기관과 제도에 대해 신뢰하는 인구 비율을 말한다.

대인 신뢰도도 같은 기간 59.3%에서 54.6%4.7%포인트 하락했다.

시민의 정치적 효능도 감소했다.

정치적 역량감은 202215.2%6.0%포인트 낮아졌다.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정치적 역량감은 스스로 정치적 역량감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인구 비율이다. '정부가 하는 일에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정부는 나와 같은 사람들의 생각이나 의견에 관심이 없다'는 항목의 동의 정도로 측정했다.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encounter24@yna.co.kr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