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은 1952302개의 교회로 시작한 이래 그 동안 많은 어려움과 굴곡이 있었지만 교단 설립 이후 60년 동안에 1781개의 교회를 아우르는 교단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교단의 성장과 함께 그에 준하는 교단 교육의 환경도 정비되었으며, 총회교육원(원장 나삼진 박사)을 중심으로 한 교단의 교육 체제도 명실공히 한국교회를 대표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급변하는 시대 앞에 교단의 교육환경과 체제는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개혁주의 신학과 기독교세계관의 건강한 계승과 발전과 함께 교육의 주체들인 교회와 수요자 중심의 실제적인 요구들이 탄력적으로 반영된 교육 정책과 방향들도 개발되어져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

▲ 센서스 발표 이현철 교수 /연구책임자, 고신대학교

이에 총회교육원은 지속적으로 교단교육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 조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금번 연구를 포함하여 6회에 걸친 교단 교육 현황과 정책 수립을 위한 조사를 수행하기에 이르렀다.

교단의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 내실 있는 수준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교단적인 수준에서의 타당하고 신뢰로운 교육 현황 파악과 평가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초조사와 평가 과정을 통해서 비로소 우리 교단의 교육현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우리 교단 교육의 어떤 부분이 강점이고, 어떤 부분이 미흡한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강점을 발전시고 미흡한 부분을 어떻게 개선시켜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적절한 논의가 가능해질 것이다. 나아가 우리가 기대하는 바는 전술한 현황조사와 평가작업을 통해서 우리 교단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단적인 기대와 변화 속에서 우선되어야 할 현황조사와 평가 작업은 실제로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주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적인 조망 아래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종단적인 차원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지향하는 교단 교육의 모습과 체제 속에서 실제로 그 교육적 체제 속에서 함께하고 있는 교역자, 교회학교 교사, 교회학교 학생(청소년)들 모두가 조사에 참여하여 그들의 인식과 상황을 내실 있게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수행과정은 단회적인 횡단조사가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종합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종단적인 조사 체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교계의 경우 이러한 광범위하고 종단적인 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적이 없으며, 비교적 교육 관련 조사 및 자료 축적에 탄력적으로 대처해 온 고신 교단의 경우도 목회자들 중심의 조사와 횡단적인 자료 분석에 머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본 교단의 경우 지금까지 5차에 걸친 교회교육 센서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타교단에 비하여 관련 영역에 있어 비교적 앞서나가고 있다고 판단되지만 수행된 연구설계, 연구방법 및 통계분석적 측면, 분석 항목의 심층성 등을 고려해본다면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사실이다.

이에 금번 교단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제6차 교회교육 센서스조사는 교단의 교육 현장과 관련된 목회자, 영유아부에서부터 중고등부에 이르는 모든 교회학교 교사, 중고등부 교회학교 청소년까지 포함하고, 이들의 종단적인 추적 조사를 위한 교단 최초의 온라인 사이트 구축(고신대학교 정보통신센터)을 통하여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이며 종단적인 접근은 교단의 교육적 상황과 관련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단의 교육 구성원들인 각 개인의 변화 양상과 관련된 유익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동일 대상에 대하여 반복측정을 통해 심층적인 자료들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교단의 교육 정책 수립과 추진에 있어 과학적 근거를 통한 분석에 기반한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실증적인 분석에 의한 자료중심의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조사의 경우 한국교계 및 본 교단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로 성장하여 그동안 자료 부족으로 인해 수행되지 못했던 교계 분야 및 교회교육을 포함하는 기독교교육 전 분야의 종단연구가 활성화 될 것이며, 이를 본 교단이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절차 및 방법  

전술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연구절차 및 방법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고신교단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한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공함에 있어 방대한 조사범위와 정밀한 기획 단계를 거쳐야만 하였다. 특별히 조사 대상 집단의 선정을 어느 수준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이후의 모든 설문조사와 분석결과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기획 단계에서의 핵심적인 논의 주제였다. 총회교육원의 경우 그동안 교회의 담임목회자 목은 교역자 중심의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오고 있었으나 교육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한 다른 측면의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의 또 다른 주체들인 교회학교 교사와 청소년들을 연구 대상 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그로 인해 연구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지난번 조사들보다는 확장되었다(목회자: 311, 교회학교 교사: 639, 청소년(/고등부): 839).

총회가 확보한 주소를 중심으로 교단 산하 37개 노회에 소속된 1781개 전체 교단 산하 교회의 담임목사 및 담당교역자와 직접 통화를 하고, 설문지 조사의 의미와 내용을 안내하였다. 안내과정 속에서 교단의 산하 매체 및 관련 교단 사이트, SNS를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하였으며, 각 노회의 노회장과 서기를 중심으로 시찰 내 교회들의 조사 참여를 독려하였다. 최종설문지의 경우 담임목회자 및 교역자용, 교회학교 교사용, 고등부 청소년이 세트가 되어 온라인 사이트와 각 교회로 배포되었다.

자료분석의 경우 고신 교단 산하 교회의 교회교육의 현황과 구성원들의 인식 수준과 종합적인 인과적 영향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18.0(PASW Statistics)AMOS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각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SPSS 18.0(PASW Statistics)을 통해서는 각 주요 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평균차이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각 항목에 대한 그래프 및 도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교회 내 교회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수준의 현황과 사회/인구학적 특징을 포함한 연구대상자들의 개인별 특성 차이에 따른 교회교육 관련 각 영역별 인식의 차이 수준을 비교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교회 내 교회교육 관련 구성원들의 특정 현상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종합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표본의 크기를 고려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으로 분석하였다.

 

3. 주요 분석 결과

. 연구대상자들의 개인별 특성 차이에 따른 교회교육 인식

-정책보고서 참고

 

. 교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1) 교회학교 교사 모형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의 경우 교회학교 교사와 청소년 결과(정책 보고서 내)에서 각 집단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문항 중 해당 개념들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문항들에서 교회의 지원, 성경공부의 교재 사항, 교육적 질로서의 적용성 및 신학적 이해, 교사의 교수학습 전문성, 성경공부 이외의 부서활동, 교사 개인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회학교 교사의 스트레스의 차원으로 교회학교 교사들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수준의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이들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정한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은 다음 [그림 2]와 같으며, 8개의 잠재변수(Latent Variable)로 구성되었다.

▲ [그림 2]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2)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Model Fit)

교회학교 교사의 교육적 상황 속에서 확인되는 주요 변수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설정된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 설정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1>과 같다.

아래의 <1>에서 보듯이 연구의 모형과 원 자료의 차이를 나타내는 χ2 검정을 살펴보면 1939.476이고 자유도는 728 이때의 유의수준은 .000으로 두 영역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원자료와 해당 연구모형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조방정식의 경우 영가설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영가설을 수용하는데 의미를 가진다(김경식이현철, 2009). 그러므로 χ2 값이 크고 확률값이 유의미하게 작으면 설정된 모형은 적합하지 않은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이신철이현철, 2013).

<1> 모형의 적합도

 

χ2

d.f

IFI

CFI

RMSEA

교회학교 교사

연구모형

1939.476

728

.910

.909

.051

 

그러나 구조방정식 내의 χ2 값은 자유도와 사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 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다른 평가지표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김경식이현철, 2009; 이신철이현철, 2013).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적합정도를 IFI, CFI, RMSE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분적합지수 IFI(Incremental Fit Index)는 그 값이 .9 이상의 1에 근접한 수치를 양호한 크기로 보고 있는데 즉, 1에 근접할수록 완벽한 모형이라 할 수 있음으로 본 연구의 .910은 적합한 모형으로 판정 된다. 또한 비교적합지수 CFI(Comparative Fit Index)도 그 값이 1에 근접할수록 완벽힌 모형이라 할 수 있음으로 본 연구의 .909는 양호한 모형으로 판정 된다(Schumacker & Lomax, 2004; Byrne, 2001). χ2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RMSEA(Root Mee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8 이하이면 일반적으로 적합도가 양호하다고 볼 수 있는데 .051이다(이현철, 2010; 조성국 외, 2012; Chae & Lee, 2011; Browne & Cudeck, 1993). 따라서 다양한 모형적합도 지표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양호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조방정식의 모형이 적합도와 함께 설정한 측정모형의 추정치를 확인해야한다(김경식이현철, 2009). 만약 위반 추정치가 확인되면, 모형 적합도에서 양호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고 할지라도 해당 모형의 결과를 신뢰롭게 수용하여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데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측정변수들은 p<.001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2>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2> 모수추정치

측정변수

교회지원

부서활동

교사 전문성

교육적질

교재

학습풍토

생활활동만족도

교사 스트레스

1

2

3

4

5

1

.946**

1.183**

.105**

1.125**

 

 

 

 

 

 

 

1

2

3

4

5

 

1

1.030**

.980**

1.071**

.951**

 

 

 

 

 

 

1

2

3

4

5

 

 

1

.929**

.936**

.999**

.951**

 

 

 

 

 

1

2

3

4

5

 

 

 

1

1.200**

1.451**

1.314**

1.255**

 

 

 

 

1

2

3

4

5

 

 

 

 

1

1.031**

1.176**

1.118**

1.089**

 

 

 

1

2

3

4

5

 

 

 

 

 

1

1.181**

1.304**

1.241**

1.154**

 

 

1

2

3

4

5

 

 

 

 

 

 

1

1.005**

1.070**

1.087**

1.103**

 

1

2

3

4

5

6

 

 

 

 

 

 

 

1

1.260**

1.195**

1.113**

1.256**

1.231**

 

*p<.05 **p<.001

 

3)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 모형 추정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모형이 양호한 모형으로 평가되었음으로 각 변인에 대한 추정결과를 살펴볼 수 있으며, <3>은 추정치와 경로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로 판단되는 것이 교회지원 교재’, ‘교회지원 교사전문성’, ‘교회지원 부서활동’, ‘교회지원 학습풍토’, ‘교회지원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회지원 교사 스트레스’, ‘교재 교사전문성’, ‘교사전문성 학습풍토’, ‘교사전문성 생활 및 활동 만족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사 스트레스의 경로이며, 이를 제외한 경로(‘교재 교사 스트레스’, ‘교사전문성 교사 스트레스’, ‘학습풍토 교사 스트레스’, ‘부서활동 교사 스트레스’, ‘교육적 질 교사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은 교재, .485, 교사 전문성, .487, 생활 및 활동 만족도, .243, 교육적 질, .531, 부서활동, .716, 학습풍토, .480, 교사 스트레스, .112이다

 

<3> 교회학교 교사 구조방정식모형 추정결과

추정변인

효과경로

추정치

표준화 추정치

교회지원

교회지원 교재

.718**

.696

교회지원 교사전문성

.156*

.154

교회지원 부서활동

.955**

.846

교회지원 학습풍토

.269**

.268

교회지원 생활 및 활동 만족도

.404**

.381

교회지원 교사 스트레스

-.456*

-.475

부서활동

부서활동 교사 스트레스

.132

.155

교사 전문성

교사전문성 학습풍토

.499**

.506

교사전문성 생활 및 활동 만족도

.172*

.165

교사전문성 교사 스트레스

.141

.149

교재

교재 교사전문성

.573**

.582

교재 교사 스트레스

.199

.213

학습풍토

학습풍토 교사 스트레스

-.101

-.105

생활 및 활동 만족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사 스트레스

-.108*

-.119

교육적 질

교육적 질 교사 스트레스

-.018

-.015

 

교회학교 교사의 구조방정식모형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수들을 살펴보면 <3>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듯이 교회교육 영역에서의 교회지원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교회지원의 경우 교재, 교사전문성, 부서활동, 학습풍토, 교사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사의 스트레스에 이르기까지 설정된 모든 영역에 .05.001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교회교육현장에서의 교회지원의 중요성을 의미하는데 교회학교 교사들의 기능적 교회의 지원 속에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교회학교 교사들이 자신의 교회교육적 상황과 방향에 만족하면서 담당 교역자의 수업과 전문성을 포함하는 교회의 교육적 지원을 통해 자신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뿐 아니라-실제로 교사의 스트레스는 -.456(p<.05)로 부적인 영향력을 통해 상쇄시켜주고 있음-교사 자신의 생활 및 활동만족도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교회의 지원은 교회교육의 핵심인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들의 직면하는 교육적 상황 속에서 전문적인 교수학습과 능력들이 발휘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게다가 교회의 지원을 통해 교회학교가 봉사하고 있는 부서활동에 긍정적인 인식과 집중을 이끌 수 있으며, 학생들의 성경공부 내 학습적 분위기와 풍토까지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교사의 전문성은 학생들의 학습풍토에 정적인 .499(p<.001)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학습환경에서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교수과정을 이끌어감에 따라 학생들이 성경공부 시간 및 그와 관련된 학습상황에서의 풍토가 개선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 개인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는 교사 자신의 핵심적인 활동인 교회학교 사역이 자신의 신앙생활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교사로서의 삶이 단순히 학습환경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삶의 행복과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만약 교사의 전문성이 낮다고 인식되고 교사 스스로가 그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날 때에는 반대적인 상황도 발생할 수 있어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이후의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교재의 구성과 내용들은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주고 있어 넓은 의미에서의 교재차원의 지원과 효율적인 구성들의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생활 및 활동 만족도는 교사 스트레스의 부적인 -.108(p<.p05)의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고 있는데 이는 교사의 삶 전반의 생활 및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로서의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교사는 자신의 생활 및 활동에 만족한다면 부적으로 교사 스트레스의 크기를 줄여주는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성도로서의 교사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참된 만족도와 행복감이 무엇에 연유할 수 있는지를 교회는 지속적으로 지도하고 권면해야 할 것이다.

한편 <4>의 교회학교 교사 모형의 직접, 간접, 전체효과를 통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각 변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도 검증은 Aroian Test Equation으로 분석하였다(Preacher & Hayes, 2008). Aroian Test Equation 간접효과 계산은 아래 [그림 3]과 같다.

 

▲ [그림 3] Aroian Test Equation

 

<4> 교회학교 교사 모형의 전체, 직접, 간접효과

전체효과

 

 

 

 

 

 

 

 

 

교회 지원

교재

교사 전문성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육적 질

부서 활동

학습 풍토

교사

스트레스

교재

.718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사전문성

.567

.573

.000

.000

.000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501

.098

.172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426

.593

.000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95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학습풍토

.552

.286

.499

.000

.000

.000

.000

.000

교사 스트레스

-.224

.229

.072

-.108

-.018

.132

-.101

.000

직접효과

 

 

 

 

 

 

 

 

교재

.718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사전문성

.156

.573

.000

.000

.000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404

.000

.172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000

.593

.000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95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학습풍토

.269

.000

.499

.000

.000

.000

.000

.000

교사 스트레스

-.456

.199

.141

-.108

-.018

.132

-.101

.000

간접효과

 

 

 

 

 

 

 

 

교재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사전문성

.41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097

.098*

.000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42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학습풍토

.283*

.286**

.000

.000

.000

.000

.000

.000

교사 스트레스

.231

.031

-.069

.000

.000

.000

.000

.000

 

비표준화 계수임 / *p<.05 **p<.001

. 청소년 구조방정식 모형

1) 청소년 모형

본 절에서는 교회학교 교사에 이어 청소년들의 교육적 상황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의 인과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으며, 9개의 잠재변수(Latent Variable)로 구성된 [그림 4]와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그림 4] 청소년의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2) 청소년의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Model Fit)

교회학교 교사와 동일하게 설정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5>와 같다. 아래의 <5>에서 보듯이 χ2 검정을 살펴보면 3038.217이고 자유도는 645이때의 유의수준은 .000으로 두 영역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하였듯이 구조방정식 내의 χ2 값은 자유도와 사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 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교회학교 교사 모형과 동일하게 다른 평가지표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도 교회학교 교사 모형과 동일한 모형 적합도 지수를 선택하여 해당 사항을 제시하였다.

<5> 모형의 적합도

 

χ2

d.f

IFI

CFI

RMSEA

청소년

연구모형

3038.217

645

.913

.913

.066

 

 

청소년 모형의 IFI, CFI, RMSEA 모두 양호한 상태로 판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양호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교회학교 교사 모형과 동일하게 측정변수들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자 추정치를 확인하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6> 참조)

 

<6> 모수추정치

측정변수

교육

만족도

교사

전문성

학습

풍토

부서

활동

교육적 질

교사

관계

부모

관계

생활 및 활동만족도

자아관

1

2

3

4

5

1

1.058**

1.182**

1.172**

1.104**

 

 

 

 

 

 

 

 

1

2

3

4

 

1

.962**

.875**

.840**

 

 

 

 

 

 

 

1

2

3

4

 

 

1

1.036**

1.090**

.952**

 

 

 

 

 

 

1

2

3

4

 

 

 

1

.999**

.951**

.910**

 

 

 

 

 

1

2

3

4

5

6

 

 

 

 

1

.966**

1.102**

1.068**

1.002**

.942**

 

 

 

 

1

2

3

4

 

 

 

 

 

1

1.035**

1.002**

.986**

 

 

 

1

2

3

4

5

 

 

 

 

 

 

1

.947**

.869**

.865**

 

 

1

2

3

4

5

 

 

 

 

 

 

 

1

.941**

.977**

.966**

1.003**

 

1

2

3

 

 

 

 

 

 

 

 

1

.960**

.894**

*p<.05 **p<.001

3) 청소년의 구조방정식 모형 추정 결과

청소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교사 전문성 학습풍토’, ‘교사 전문성 교육적 질’, ‘교사 전문성 교육만족도’, ‘교사관계 학습풍토’, ‘교사관계 교육적 질’, ‘학습풍토 교육적 질’, ‘학습풍토 교육만족도’, ‘부서활동 생활 및 활동 만족도’, ‘부서활동 자아관’, ‘부서활동 교육만족도’, ‘교육적 질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육적 질 교육만족도’, ‘부모관계 자아관’, ‘부모관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육만족도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교사관계 교육만족도’, ‘학습풍토 교육적 질’, ‘부모관계 교육만족도’, ‘자아관 교육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한편 각 변수의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은 학습풍토, .481, 교육적 질, .793, 부서활동, .838, 자아관, .462, 생활 및 활동 만족도, .650, 교육만족도, .875이었다.

 

<7> 청소년 구조방정식모형 추정결과

추정변인

효과경로

추정치

표준화 추정치

교사 전문성

교사 전문성 학습풍토

.346**

.437

교사 전문성 교육적 질

.261**

.324

교사 전문성 교육만족도

.095**

.139

교사관계

교사관계 학습풍토

.482**

.538

교사관계 교육적 질

.754**

.825

교사관계 부서활동

1.003**

.915

교사관계 교육만족도

-.122

-.157

학습풍토

학습풍토 교육적 질

.007

.007

학습풍토 교육만족도

.158**

.183

부서활동

부서활동 생활 및 홛동 만족도

.433**

.502

부서활동 자아관

.545**

.590

부서활동 교육만족도

.368**

.521

교육적 질

교육적 질 생활 및 홛동 만족도

.109*

.106

교육적 질 교육만족도

.404**

.477

부모관계

부모관계 자아관

.283**

.339

부모관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430**

.552

부모관계 교육만족도

.042

.066

생활 및 활동만족도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육만족도

.079*

.096

자아관

자아관 교육만족도

-.124

-.162

*p<.05 **p<.001

 

청소년 구조방정식모형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교회교육과 관련된 청소년들의 종합적인 인식의 인과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교사 전문성의 영역은 청소년들의 교육관련 영역의 핵심적인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청소년들은 자신의 목회자와 담임선생님의 교수방법 및 전문적인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해당 반의 학습분위기와 풍토, 교육회교육을 통해 적용과 신학적 이해, 그리고 청소년들의 교회교육에 대한 교육적 만족도가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회학교 교사 모형에서도 교사의 전문성이 중요하였음을 고려할 때 현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집중해야 할 영역이 바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의 역량의 개발에 맞추어야 함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이어서 교사관계는 교사의 전문성과 함께 학습풍토, 교육적 질, 학생들의 부서활동에 대한 집중과 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의 전문성이 인지적인 측면의 특성이라고 한다면 교사관계는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정의적인 차원의 교류로서 학생들의 전반적 교회 내 활동과 신앙적 성숙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교사관련 변수들의 이러한 강력한 영향력은 교회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강조와 본질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가를 확인시켜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학습풍토도 교육만족을 증진시키고 있어 기능적인 학습분위기와 풍토의 형성은 교회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개선의 주요한 요인임을 볼 수 있다. 또한 부서활동도 학생들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 자아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성경공부 이외의 부서활동을 통해 교육만족도도 영향을 받으며, 나아가 자신들의 건강한 자아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교회학교의 활동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막연하였던 효과성의 영역이 실증적으로 확인되는 대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목회자들은 부서활동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다양한 전략과 접근들을 통해 부서활동의 기능적인 활성화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적 질 즉, 교회교육의 실천적인 적용과 성경 및 신학적인 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수준은 학생들의 삶 전반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그 외 교육적 만족도에도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회교육에서 집중해야 할 것들이 무엇이며, 학생들에게 단순한 재미만이 아니라 교사로서 전문성을 가지고 수준 있는 신앙교육을 진행해 나갈 때 학생들의 교육적 만족도도 개선되어지며,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전반적인 생활 및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도 증진되어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본다면 그동안 교회교육에 대하여 상식적인 믿음으로 여겨져 왔던 다양한 효과성들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그러한 효과가 존재하며, 청소년들의 삶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제는 이러한 맥락을 기억하면서 교회교육 체제 속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전략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회학교 교사 모형과 동일하게 모형의 직접, 간접, 전체효과를 통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각 변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볼 수 있으며, 해당 간접효과의 유의도 검증은 전술하였듯이 Aroian Test Equation으로 분석되었다. 아래 <8> 참조.

 

<8> 청소년 모형의 전체, 직접, 간접효과

전체효과

 

 

 

 

 

 

 

 

 

교사

관계

교사

전문성

부모

관계

학습

풍토

교육적

부서

활동

자아관

생활 및 활동 만족도

교육

만족도

학습풍토

.482

.34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758

.264

.000

.007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1.00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자아관

.547

.000

.283

.000

.000

.545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517

.029

.430

.001

.109

.433

.000

.000

.000

교육만족도

.603

.258

.041

.161

.412

.335

-.124

.079

.000

직접효과

 

 

 

 

 

 

 

 

 

학습풍토

.482

.34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754

.261

.000

.007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1.00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자아관

.000

.000

.283

.000

.000

.545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000

.000

.430

.000

.109

.433

.000

.000

.000

교육만족도

-.122

.095

.042

.158

.404

.368

-.124

.079

.000

간접효과

 

 

 

 

 

 

 

 

 

학습풍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교육적 질

.003

.00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부서활동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자아관

.54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생활 및 활동 만족도

.517**

.029*

.000

.001

.000

.000

.000

.000

.000

교육만족도

.725**

.163**

-.001

.003

.009

-.033

.000

.000

.000

 

비표준화 계수임 / *p<.05 **p<.001

 

4.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현장중심정책모형 제안: “KOSIN NEXT 2020”

 

교단 교육 정책 모형 제안은 고신 교회 교회교육 현장의 기능적인 활성화를 전제로 다양한 모형들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사에서는 목회자, 교회학교 교사, 청소년(/고등부)각 교육 주체들의 상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중학교 1학년이 모두 성인으로 접어드는 2020년까지를 구체적인 정책 모형의 적용 시기로 설정하여 “KOSIN NEXT 2020”을 제안하였다.

특별히 이 과정에서 교단교육의 효과성과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는데, 그 내용은 대표적으로 교회학교 및 교회 내 부서활동은 학생들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 자아관, 교육만족도에 실증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과 교단 교회교육의 실천적인 적용과 성경 및 신학적인 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청소년들은 삶 전반의 생활 및 활동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내용들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20가지(해당 20가지 아이디어는 ‘2020’ 중의적인 의미도 포함하고 있음.) 실천적 분석의 요인 및 결과들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교단 교회교육의 성장과 개선은 결국 4가지 핵심 영역에 대한 정책들로 분류할 수 있었다. 4대 핵심 영역은 교단 및 교회(목회자), 교회학교 교사, 청소년 및 학습자, 부모 및 가정이며 이러한 측면은 “KOSIN NEXT 2020” 모형의 사역 대상이 된다. 

▲ [그림 5] KOSIN NEXT2020 정책 모형

구체적인 해당 요인들을 살펴보면 요인들의 의미와 성격에 따라 중복되어 범주에 해당 될 수 있는데, 먼저 교단 및 교회(목회자) 영역은 기독교 교육과정과 교육철학에 기반한 통합운영 체제와 교육과정 구성’, ‘개체 교회의 교육예산 집중과 재정적 자립 지원 방안’, ‘미취학부를 포함하는 다음세대 연령 구성원들의 감소’, ‘내실있는 교회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담당 교역자 교육’, ‘상담 훈련과 지원 체제의 요구’, ‘총회 및 노회의 지도와 신학교 재교육에 대한 요구’, ‘교단 교재 사용의 의무화와 현장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 할 필요’, ‘목회자들의 교회교육적 역량 강화와 전문성 함양’, ‘변화된 교육체제에 대한 준비와 체제 구축 필요’, ‘개혁주의 신학과 고신교단의 신앙 정신 강화 필요’, ‘교회학교 교사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의 필요’, ‘개체 교회지원의 엄청난 영향과 그 의미’, ‘교회학교 교사 전문성 개발과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 ‘청소년들에 대한 교회학교 부서활동의 실증적인 효과’, ‘신앙교육이 청소년들의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 결정’, ‘교회 및 목회자, 교사, 청소년을 균형있게 지원하는 총회교육원이다. 교회학교 교사영역은 학생들의 학습풍토 개선’, ‘개혁주의 신학과 고신교단의 신앙 정신 강화 필요’, ‘교회학교 교사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의 필요’, ‘개체 교회지원의 엄청난 영향과 그 의미’, ‘교회학교 교사 전문성 개발과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 ‘학생들은 교사의 전문성에 결정으로 좌우됨’, ‘기능적인 교사-학생관계의 중요성’, ‘청소년들에 대한 교회학교 부서활동의 실증적인 효과’, ‘신앙교육이 청소년들의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 결정이며, 청소년 영역은 학생들의 건강한 학습태도 형성’, ‘청소년들에 대한 교회학교 부서활동의 실증적인 효과’, ‘신앙교육이 청소년들의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 결정이다. 마지막으로 부모 및 가정 영역은 전술한 항목들의 지원책으로서의 정책적 대상이 포함되어야 할 영역이다.

해당 모형의 핵심은 각 영역에 있어 고신 총회와 총회교육원의 지원적인 사역을 바탕으로 교단 산하 교회/목회자, 교회학교 교사, 청소년 및 학습자, 부모 및 가정이 균형 있게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임을 강력히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도 요구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실제적인 후속 작업 및 전략 구축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이현철안동철(2013). 교단정책수립을 위한 제6차 교회교육 센서스 정책보고서. 총회교육원고신대학교.

이신철이현철(2013). 건강한 고신 교회건설을 위한 2012 미조직교회 현황 기초조사: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진단과 정책제안.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설립 60주년 기념사업 정책보고서.

김경식이현철(2009). 학습태도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 내외적 요인분석: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7(2). 181-207.

이현철(2010).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1). 1-11.

조성국조철현이현철안동철(2012). 생명의 양식 제4차 교육과정 클릭바이블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대한예수교장로회 충회교육원 정책보고서.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 application,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

Schumacker, R. E., & Lomax, R. G. (2004).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Inc.

Chae, J. Y. & Lee, K. Y. (2011). Impacts of Korean fathers'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 39(5). 627-644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879-891. 

저작권자 © 코람데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